올해 1월 1일부터 ‘고향사랑e음’ 통해 기부 본격 시작
일부 지자체 이색 답례품 눈길, 그러나 대부분 비슷해
지방 재정 확충 차원 사업 추진된 만큼 차별화 답례품 전략 모색 필요
전북도 “고향사랑기부제 원년, 시·군과 소통하며 차별화된 답례품 모색 노력”
이달 1일부터 본격 시행된 '고향사랑기부제'가 지자체마다 답례품이 비슷해서 제도 활성화를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개인이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면 금액에 따라 일정 비율을 세액공제하는 고향사랑기부제는 열악한 지방재정을 확충하고 기부자에게 지역 농수산물 등을 답례품으로 제공해 지역경제 활성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는 궁극적으로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고향사랑기부제의 도입 이유다.
그러나 기부 유입 역할을 하는 답례품이 지자체마다 대부분 비슷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고향사랑기부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온라인의 경우 고향사랑기부제 종합정보시스템인 ‘고향사랑e음’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향사랑e음 시스템은 기부자의 기부금 납부부터 답례품 선택과 배송, 자동 세액공제 처리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있다.
2일 전북일보가 고향사랑e음 시스템에 등록된 지자체의 답례품을 살펴본 결과 모든 지자체가 지역 특산물 또는 가공품, 상품권 등을 답례품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그중 눈에 띄는 답례품은 기부자들이 지역을 방문했을 때 ‘생활인구’로서 경험을 남길 수 있는 관광상품권이다.
전북 완주의 안덕마을 체험권을 비롯해 경북 경주의 유리 공예, 강원도 동해의 서핑 강습권, 충북 옥천의 옥천전통문화체험관 한옥숙박이용권 등이 있다.
또 전북 무주의 벌초 대행 서비스와 전남 영암의 천하장사와 함께하는 식사데이트권 등 이색적인 답례품도 눈길을 끈다.
하지만 일부 답례품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비슷한 제품들이 많았다.
실제 쌀을 답례품으로 제공하는 지자체는 중복된 내용을 포함하더라도 230여 곳이 넘었으며 커피를 답례품으로 제공하는 지자체도 40여 곳에 달했다.
한우를 가공해 제공하는 지자체는 300곳, 홍삼 답례품의 경우는 110곳이 검색되기도 했다.
답례품이 중요한 이유는 기부 유도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앞서 우리나라보다 먼저 고향사랑기부제를 추진한 일본은 제도 첫 해 73억 엔에 불과했던 기부금 총액이 지난 2021년 기준 8302억 엔으로 113배가 늘어 지방재정 확충의 중요한 방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공공중심으로 제도를 추진하는 우리나라와 달리 ‘후루사토 초이스’, ‘라쿠텐 후루사토납세’ 등과 같은 민간 플랫폼을 활용해 제도 정착에 주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민간 플랫폼은 자신들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 공공기관과 지역 답례품 제공 업체 등과 끊임없이 소통해 차별화된 전략을 마련, 지자체로 기부가 이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한 기부금의 사용 취지와 목적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게 하면서 기부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올해는 고향사랑기부제 원년으로 제도가 정착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특히 일선 시·군과도 소통해 차별화된 답례품이 발굴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