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경제상황 녹록지 않아...'열악'에 가까워
신규 다중채무자 연령별 비중서도 고령층 증가세
빛나는 노후생활을 기대한 고령층이 빚에 허덕이고 있다. 소득 대비 부채가 많아 고령층의 경제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고령층뿐만 아니라 은행권 이용이 어려워 비은행권을 찾는 차주도 않은 것으로 집계돼 열악한 도민들의 경제 상황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14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전북지역 가계부채 현황·잠재 리스크 점검'(홍준선 기획조사팀 조사역)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전북지역 가계부채 규모는 26조 7000억 원이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고금리가 계속되고 있지만 가계부채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상회하고 있다.
전북지역 가계부채는 높은 고령층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 인구가 많은 영향으로 타지역에 비해 60대 이상 고령층의 소득 대비 부채가 높다. 타 연령층에 비해 벌어들이는 소득은 적지만 부채는 비교적 높은 편이다.
전북지역 신규 다중채무자 차주 수에서도 50대부터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 1∼2분기 기준 전북지역 신규 다중채무자 연령별 비중을 살펴보면 50대 27%, 60대 이상이 13.4%다. 최근 5년간(2018년∼2023년) 동 기간 중에서 최고치를 기록했다.
더 큰 문제는 비은행권 중심의 부채구조다. 2분기 기준 비은행 부문 비중은 59.8%다. 전국 평균(40.5%) 대비 상당이 높은 수준이다. 이중에서도 상호금융 비중이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전북지역 차주의 경우 타지역에 비해 열악한 경제상황에 놓여 있어 비은행 부문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전북지역 차주 중 중·저소득, 중·저신용 차주의 대출 비중은 각각 43.7%, 28.0%에 달한다.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들이 은행권 이용이 어려워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권에 대출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차주 보호를 위한 단기·중장기적 방안을 제시했다. 정책서민금융과 연계된 다양한 금융 프로그램을 통해 취약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을 개선하는 등 가계부채 부실화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홍준선 기획조사팀 조사역은 "단기적으로는 취약계층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이들이 다양한 정책금융상품을 이용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저금리 업권·상품 대출 비중 확대와 정책금융과 연계된 일자리·복지제도의 활용 등을 통해 가계부채 구조 개선·채무상환능력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