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사이 재테크 열풍, 재테크 관심 높아
전북 청년 두배적금 뜨거운 관심 속 접수 마감
일부 시군 일 년 새 경쟁률 2배 이상 높아지기도
소비자 경보 '주의' 발령⋯"자금 이체 요구 안 해"
청년층 사이에서 재테크 열풍이 불고 있다. '내 집 마련' 꿈을 안은 청년들이 월급만으로는 꿈을 실현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재테크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정부·지자체의 청년 금융 지원정책은 필수 재테크 상품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이를 노린 신종 사기 수법까지 등장하면서 금융당국이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22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전북 청년 함께 두배적금(두배적금)'도 전북지역 청년의 높은 관심 속 마감됐다.
두배적금은 지난해 배당인원 300명에서 올해 1000명으로 증원했지만 여전히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총 1만 4621명이 접수하면서 14.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시·군별로는 전주시가 17.3대 1로 가장 높고 순창군이 5.5대 1로 가장 낮았다. 지난해 경쟁률이 2대 1이었던 순창군은 일 년 새 경쟁률이 2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매월 10만 원 저축하면 2년 만기 시 최대 500만 원 수령이 가능한 적금이다 보니 청년층 사이에서 핵심 재테크 통장으로 자리매김하면서 큰 관심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은행도 앞다퉈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예적금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신한은행의 '청년 처음적금', 제주은행의 'MZ플랜 적금', NH농협은행의 'NH1934월복리적금', 우리은행의 '스무살 우리 정기적금' 등이 있다.
정부·지자체, 은행까지 청년층 대상 금융 지원정책·상품을 내놓으면서 이틈을 노린 신종 사기 수법까지 등장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정부와 지자체의 청년 금융 지원정책을 악용한 피싱 사이트가 등장함에 따라 소비자 경보 주의를 발령하고 금융 소비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로 사기범은 청년 대상 정책 금융상품 증가·'청년희망적금' 만기 도래 증가에 편승해 자금 편취를 노린 것으로 조사됐다.
사기범은 부산광역시가 운영하는 '청년기쁨두배통장' 가입 사이트를 모방·개설해 개인정보 입력·자금 납입을 유도했다. 기재부·전국경제진흥원협의회 등 정부기관을 상징하는 로고를 도용해 진짜 사이트처럼 만들어 자금을 편취하려고 한 것이다.
특히 유튜브·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정부·지자체 금융 지원정책 상품인 것처럼 홍보했다. 청년층 특성상 SNS에서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만큼 다수 청년 금융 소비자에게 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청년 지원사업 시행기관에 따라 절차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특정 계좌로 자금 이체를 요구하는 경우는 없다. 이미 피해금을 이체한 경우에는 즉시 경찰청 '통합신고대응센터(112)'로 해당 계좌에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