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투표율 31.4%(전국 25.7%), 전주 열린새마을금고(3.1%) 전국 최저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80.4%, 상대적으로 도시 지역의 무관심
현직의 권한 오남용 문제를 제기하며 출마, 익산과 남원에선 논란
기대했던 민주적 운영과 신뢰 회복 목표 달성 의문, 참여 폭 넓혀져야
제1회 전국동시새마을금고이사장선거가 종료됐다. 선관위 위탁으로 처음 실시된 이번 선거는 전북 지역 투표율이 31.4%에 그치는 등 기대했던 민주적 운영과 신뢰 회복이라는 목표 달성은 과제로 남게 됐다.
이번 선거에서 도내 총 51개 금고 중 34개소는 단독 출마로 무투표 당선이 확정됐다. 전북 지역 예상 선거인은 도민 10명 중 1명꼴인 19만 1496명이었으나, 17개 경선 금고에서 단 2만 705명만 투표에 참여해 실질 투표율은 10.8%에 불과했다.
지역별 투표율 격차도 현저했다. 직선제로 진행된 전주시 완산구 열린새마을금고는 선거인 1만 1631명 중 단 361명만 투표해 3.1%의 투표율로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이는 전주에 거주하는 조합원들의 낮은 관심과 함께, 주소지와 무관하게 일정 금액만으로 조합 가입이 가능한 구조적 한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대의원 중심의 간선제를 제외할 경우, 도시 지역 회원들의 새마을금고에 대한 관심도가 농촌 지역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적 양상도 유사했다. 전국 평균 투표율은 25.7%로, 제주(63.2%)와 전남(51.6%)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투표율은 30% 내외에 머물렀다. 특히 경기는 16.2%의 극히 저조한 투표율을 보였다.
저조한 투표율은 전국동시조합장선거와 비교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2015년에 치러진 전북 지역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의 경우 80.4%의 투표율을 기록하며, 이번 새마을금고 선거 투표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제2회와 제3회 선거에서도 모두 81.2%의 높은 투표율을 유지했다. 1회 당시 전체적으로 44.5%가 현직을 교체한 반면, 이번 새마을금고이사장 선거에서는 25.5% 수준이었다.
전북선관위 관계자는 "금고의 경영과 이익과는 거리가 먼 단순 회원들에게도 투표권이 부여되다 보니 투표율이 낮을 수밖에 없었다"라며 "도시 지역의 불특정 다수 선거인의 투표 참여를 이끌어내기가 특히 어려웠다"고 말했다.
선거 과정에서 선거법 위반 사례와 비위 행위가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익산 지역에서는 한 입후보예정자가 청년 회원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불법 선거운동을 한 혐의로 고발당했다. 남원 지역에서는 부적절한 대출 등으로 직무 정지 처분을 받은 현 이사장이 선거에 출마해 논란을 빚었다.
이번 선거는 현직 이사장에 맞서는 후보자들이 주로 현 이사장의 비리나 직권남용 의혹을 제기하며 출마한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한 금고는 초기에 무투표 당선이 예상됐으나, 현직 이사장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후보자가 마감 직전 등록하면서 경선으로 전환된 사례도 있었다.
연령대별 출마 현황도 편중 현상이 뚜렷했다. 50대 19명, 60대 38명, 70세 이상 13명이 도전장을 냈으나, 40대 이하 후보자는 전무했다. 이는 금고 운영의 고령화 문제와 함께 젊은 세대의 금고 경영 참여가 어려운 현실을 방증하고 있다.
최지능 새마을금고중앙회 전북지역본부장은 "첫 직선제라는 기대와 과열 현상이 벌어지진 않을까라는 우려가 반반이었다"면서도 "회원들의 참여 폭이 넓어져야 하고, 이사장에 도전하는 후보자 풀이 다양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임기 조정 문제로 이번 선거에서 제외된 전주시 완산구 서전주, 군산시 금강·남군산, 임실군 임실 등 4개 금고는 4년 후 열리는 제2회 선거에 참여하게 되며, 차기 선거에서는 총 55곳에서 투표가 진행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