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진짜 FLEX”⋯책값은 어른이, 선택은 청소년이
신간 평균가 1만 9526원 시대, 캠페인이 덜어준 경제 부담
청소년 독서량 반등세⋯책 사줄게 캠페인이 박차 가할까
 
   “어른이 사 줄게, 너는 읽기만 해.”
최근 전국 독립서점으로 특별한 캠페인이 번지고 있다. 이름은 ‘청소년 책 사줄게’, 책값을 어른이 먼저 내주면 청소년은 부담 없이 원하는 책을 가져갈 수 있는 방식이다.
출발점은 청주의 독립서점 ‘책방 앤’이다. 단골손님 한 명이 지역 청소년들을 위해 매달 책값 5만 원을 선결제하면서 움직임이 시작됐다. 이 후원금 덕에 서점을 찾은 청소년들은 계산 걱정 없이 읽고 싶은 책을 집어 들 수 있게 됐다.
책방 앤은 SNS를 통해 “어느 날 다른 책방에 누군가가 책 10권을 선결제해 지역 청소년들이 마음껏 책을 고르는 모습을 보고 너무 부러웠다”며 “부러워만 하지 말고 뭔가 하자 싶어서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후 책방 앤은 후원금이 소진되면 책방 주인이 청소년에게 소액 용돈을 주는 방식까지 더해 본격적인 캠페인으로 발전시켰다.
취지는 명료하다. 청소년들이 서점을 어렵지 않게 드나들고, 어릴 때부터 독서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책방 앤은 프로젝트 목표를 살리기 위해 보호자 간섭 없이 학생이 직접 책을 고르게 하는 등 몇 가지 규칙도 정했다.
책방 앤이 시작한 캠페인은 다른 독립 서점으로도 번지고 있다.
전남 화순의 책방 ‘오다’도 8월13일부터 캠페인에 참여해 일주일 만에 50만 원을 모았다. 이 돈으로 8월에만 청소년 5명이 무료로 책을 받아갔다. 책방 오다는 “9월에는 10명의 청소년에게 책을 선물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전북에도 불씨가 옮겨붙었다. 전주 독립서점 ‘잘 익은 언어들’은 10월부터 캠페인을 시작한다.
이지선 잘 익은 언어들 대표는 “전주에서는 아직 시작한 곳이 없어 우리가 먼저 나서려 한다”며 “현재 후원자를 모집 중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번 캠페인이 청소년들의 독서 갈망을 해소해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발표한 ‘2023 국민독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성인의 독서율은 하락세인 반면, 학생의 독서율은 2023년부터 반등했다. 종이책과 전자책에 대한 수요도 동시에 늘고 있다.
그러나 대한출판문화협회가 발표한 ‘2024 한국 출판생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간 도서 평균 가격은 1만 9526원으로 전년(1만 8633원)보다 4.8% 올랐다. 벌이가 없는 청소년들이 원하는 책을 자유롭게 고르기에는 여전히 부담이 큰 상황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