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충환 완주미디어센터 센터장 “조금 천천히 걸으며 돌아볼 때”
“마을 시민의 성장을 돕고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는 미디어 생태계를 만드는 게 완주미디어센터가 스스로 정한 소임입니다.” 올해부터 완주미디어센터를 책임지고 있는 안충환(51) 센터장은 미디어센터의 소임에 충실, 주민과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센터의 위상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완주미디어센터는 기본적 소임에 충실, 지난 3년간 긍정적 평가를 도출했다. 지난 2018년 하반기 시범운영을 거쳐 2019년 4월 정식 개관한 후 미디어교육과 체험프로그램 운영, 공동체 상영과 창작 등 완주 주민들의 미디어 활동 지원에 나섰다. 지난해 6000여 명의 시민이 100여 개 프로그램을 이용했고, 코로나 사태 대응 우수사례로 뽑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로부터 상도 받았다. 그런데 최근 센터장을 맡은 그의 머릿속에 고민이 생겼다. ‘우리가 잘 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는 센터가 처음 생각대로 잘하고 있는 것인지 진지하게 숙고할 때가 됐다고 보았다고 말했다. 안 센터장은 “시민들이 미디어를 잘 활용할 수 있게 알려주고, 창작 활동 등을 지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이게 다일까라는 생각이 들은 것이죠.” ‘완주’라는 특정 지역에서의 미디어센터 역할은 조금 다른 지점이 있는 게 아닐까하는 의문이 생겼고, 출발 3년을 넘어선 지금, 그에 대한 해답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센터장을 맡은 지 한 달 남짓, 그가 생각한 핵심과제는 지역 아카이브(자료 축적)와 문화 다양성, 리터러시(문해력) 세 가지다. 이를 통해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사실 새로운 과제는 아닙니다. 그동안 미디어센터는 물론 문화기관이나 단체, 혹은 활동가들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문제니까요. 그럼에도 저는 우리 센터가 집중적으로 고민하고 실행해 나갈 핵심 키워드라고 생각합니다.” ‘아카이브’의 중요성에도 불구, 실제로 지역 상황을 보면 아카이브 영역에서 뚜렷한 진척이 없다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개인은 한계가 있고, 공공은 여력이 되지만 절실함이나 전문성이 덜하다. 완주미디어센터는 미디어라는 훌륭한 수단을 갖춰 실행 경쟁력이 높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안 센터장은 유의미한 자산들이 사라지기 전에 우선 가능한 것부터 조금씩, 꾸준히 쌓아 나가겠다고 했다. ‘문화다양성’ 가치를 확산시키는 것도 주요 목표다. 사업 구상과 기획, 자원배분, 구성원, 평가항목 등 센터 운영과 사업 진행 전반에 걸쳐 문화다양성이라는 가치를 내재화하는 것이다. 이걸 조금 더 명확하게 해 볼 생각이다. 세 번째 목표인 ‘리터러시’의 핵심도 결국은 센터가 정한 소임에 닿아있다. 미디어 홍수시대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올바른 미디어 활용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안 센터장은 “문화다양성은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는 세계, 리터러시는 마을 시민의 성장으로 이어집니다. 센터가 애초에 정한 소임이죠. 돌고 돌아 제자리 같아도 처음과는 깊이가 다르게, 묵묵히 나아가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완주=김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