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붕(호원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때문에 중소기업을 방문한 때이다.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필요한 기술에 대해 논의하던 중이었다. 하지만 C 중소기업의 사장님은 정부의 기술지원정책에 대해 매우 못미더워 하는 심경이었고 더욱이 대학과 기술협력을 통해 아무런 성과도 없었다는 점을 들려주면서 정부의 지원정책에 대해서도 까다롭고 귀찮게만 하지 회사의 생산성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고 반기지 않는 눈치였다. 매년 대학의 산학협력을 위해 도내 중소기업을 방문할 때 마다 일부 기업이긴 하지만 이런 반응을 보이는 업체가 있다.
중소기업의 지원정책과 산학협력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분들이 많다고 알고 있다. 정부 특히 중소기업청에서 지원하는 산학협력모델은 제도적인 면에서만 본다면 흠잡을 때가 없다. 문제는 중소기업의 부족한 면과 대학이 필요로 하는 면을 서로 간 얼마나 노력하여 결실을 맺는가에 달려 있다고 본다. 단지 아는 처지라고 해서 정부의 지원정책에 동참했다면 그것은 앞으로도 대학과 중소기업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국가경제에도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뿐이다. 정부가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해당 중소기업의 기술개발능력과 사업 수행 능력 등을 두루 살펴서 지원하고 있다.
이를테면 해당제품의 마케팅 분석이라든지 기술혁신 노력과 신기술의 동향, 동종업체의 상품비교등이 그런 것이다. 하지만 이런 분석을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비용 그리고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소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실정이 된다. 결국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은 사업계획서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는지에 따라 차등 지원하는 것이고 실지로 잘 준비된 기업일수록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게 준비할 수 없는 소기업의 지원은 어떻게 할 것인가? 그럴수록 대학과 함께 산학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짜임새 있게 하여 정부의 지원자금은 물론 중소기업의 발전에도 함께 노력하는 길 뿐이 없다.
중소기업은 정부의 지원에 대해 자신의 기업이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학의 잠재적인 가치를 무료로 활용하여 반드시 중소기업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결국 대학과 중소기업이 어떻게 하면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 노력한다면 분명히 성과가 있을거라 생각한다. 대학의 고급인력과 풍부한 기자재를 소기업과 공유하고 쓸 수 있도록 대학이 보유한 실험실습 기자재도 조건없이 개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소기업의 지원은 정부의 여러 기관이 중복되게 지원되는 경향이 있지만 그 혜택을 누리는 중소기업도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여서 유사하게 지원되는 일이 있더라도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역의 중소기업도 살리고 일자리 창출과 함께 소규모 창업도 활성화 되고 지역경제도 바로 설수 있을 것이다.
/정의붕(호원대학교 산학협력단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