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아테네가 민주주의 꽃을 피울수 있었던 것은 농업 도시국가가 아닌 상업 도시 국가였기 때문이었다. 아테네 도시는 산이 많고 농토가 적으면서 인구가 많아 인근 지역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빋아 그것을 가공하여 다시 되파는 식의 장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지정학적 어려움이 오히려 아테네를 상업국가로 도약시킨 계기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키케로의 말처럼 곤란이 클수록 영광도 크다는 식이다.원료를 가공하여 이웃나라에 수출한다는 것은 요즈음 표현으로 한다면 그들은 일찌기 상품을 브랜드화 한것이었다.수입된 원료에다 기술을 가미한 것이다.
자원 빈곤국인 우리가 지향해야할 미래형이 바로 고대 아테네일 것이다. 그래서 우리와 비슷한 자원 빈곤국 독일이 아테네의 길을 걸었던 것이다. 독일이라면 우선 독재자 히틀러를 연상할수도 있지만 우리주위에 위풍당당히 굴러다니는 자동차의 왕자, 벤츠나 B M W가 그들의 세계적인 브랜드 이다.그들이 만든 벤츠,B M W의 80%가 해외로 수출되고 있다. 독일은 이미 세계 최초로 1941년에 콘라트 추체라는 토목 공학을 전공한 사람이 컴퓨터를 개발했다. 그리고 현재 지구상에서 움직이고 있는 자동차의 모든 엔진 종류를 독일에서 개발했다. 자동차의 기어 역시도 독일 사람 발명 작품이고 광학 현미경보다 1800배 배율을 가진 전자 현미경 역시 독일인의 머리에서 나왔다.
독일에는 종업원 500명 미만인 중소기업이 337만개인데 여기서 일하는 인구가 자그만치 2000만명이다. 중소기업 천국이라 할 것이다. 10대 재벌의 수출액이 총수출액의 70%를 점유하는 우리와는 너무도 대조적이다.
일본이 바로 독일식의 경제패턴을 모방했던 것이다. 일본 역시도 중소기업의 수출액이 총수출액의 70%를 차지한다. 세계 500대 브랜드에 한국의 브랜드는 4개만 소속되었고 중국은 12개라고 하여 중국이 우리를 앞섰다.
한국의 브랜드는 삼성, 현대 자동차, L G, S K 텔레콤이다.참고적으로 보면 미국이 247개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같이 자원 빈곤국 일본이 43개이다.앞으로 우리 생존의 길은 과학입국(科學入國)을 만들고 기술주의 국가가 되어 브랜드 왕국이 되는 것뿐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