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5:41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진안
일반기사

[진안] "선산이 바로 코앞인데..."...용담댐 수몰민의 아픔

수몰민 이주단지 보한마을 사람들의 기막힌 소회

안천면 노성리 보한마을의 정석진 이장이 수몰된 마을을 가리키고 있다. (desk@jjan.kr)

“바로 저그 쯤일거야. 마을 사람들이 도랑도랑 모여 앉아 술도 마시고 정담도 나눴던 숱한 추억이 서린 곳이지.”(정석진씨)

 

“선산은 지척인디 말여, 애써 10리 길을 돌아야 조상에 대한 예를 올릴 수 있으니 참말로 서글프네 그려.”(안경옥씨)

 

용담댐 건설로 물속에 잠긴 고향 땅에서 떠 밀린 수몰민들의 한(恨)풀이 장격인 ‘망향의 동산’.

 

수몰과 함께 지난 1998년 안천면 노성리 보한마을에 망향탑과 함께 세워진 이 곳에서 만난 수몰이주단지 이장(정씨·62)과 노인회 총무(안씨·74)의 기막힌 소회(所懷)다.

 

수몰의 아픔을 안고 살아가는 보한마을(67세대 135명) 주민들은 추석명절이 그리 달갑지만은 않다.

 

고향(옛 상보마을) 땅을 지척에 두고도 밟지 못하는 서글픈 명절이 8년 째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추석이 되면 으례 친지들과 고향 땅에 모여 차례를 지내는 평범한 삶을 포기한 지 오래다.

 

조상에 대한 예로 선산을 찾는 일 또한 이들 수몰민에겐 또 하나의 피치 못할 아픔이다. 끝내 고향 땅을 지키지 못한 죄도 죄려니와 막힌 물길을 피해 한참을 돌아야 하는 현실에 스스로를 자책한다.

 

정씨는 “선산이 바로 코 앞인데도, 주변 순환도로를 따라 4km가 넘는 길을 돌아서 가야 한다”면서 “불편은 차치하더라도, 객이 된 듯한 형국에 울화가 치민다”고 자괴했다.

 

이 같은 성묘객들을 위해 무료 배편(10척)이 지원되고는 있지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질 못한다.

 

10리 밖에 있는 인근 선착장을 이용하려고 애써 버스를 탈 바에야, 아예 개인 차편으로 가는 게 수월하기 때문. 한켠에 마련된 어업계 자망통어선을 타려 해도 (일반인)제약에 걸려 있으나 마나다.

 

노인회 안 총무는 “불편한 성묘길 때문에 때론 지척에 둔 선산에 대고 멀리서 차례를 지내는 경우도 있다. 조상들께 그저 죄송한 맘 뿐”이란 말로, 비운의 현실을 대변했다.

 

한편 지난 2000년 형성된 용담댐 건설로 진안에서는 1읍 5개면 25개 법정리 68개 마을 2864세대 1만2616명이 수몰민처지가 됐으며, 보한마을은 이 중 가장 큰 수몰이주단지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재문 sandak7@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