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옛 '카펜터스' 저택 재개발에 팬들 반발

지난 1970년대 인기를 누렸던 팝그룹 '카펜터스' 일가가 살았던 주택이 재개발될 운명에 놓이자 팬들이 일제히 반발하며 보존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16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LA 인근 다우니의 뉴빌가(街)에 위치한 옛 카펜터스 일가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마누엘과 블랑카 멜렌데스 파라 부부는 과거 카펜터스가 사무실 겸 리허설 스튜디오, 여가용으로 사용하던 별채를 뜯어내고 2층짜리 주택으로 개조하는 작업에 착수한데 이어 본채를 리모델링하겠다며 시 당국에 허가서를 제출한 상태다.

 

오빠인 리처드 카펜터와 여동생 카렌 카펜터가 정상을 달리던 1971년 부모를 위해 구입한 뒤 함께 살았던 이 집의 본채는 방 5개짜리의 단층 주택으로, 파라 부부는 이를 2층 구조로 리모델링한다는 계획이다.

 

건설된지 39년 째인 이 집은 특히 감미로운 목소리의 카렌이 거식증으로 1983년 돌연사한 데 이어 아버지 해럴드가 1988년, 어머니 아그네스가 1996년 각각 사망한 곳으로 약 26년간 카펜터 일가의 숨결이 녹아있는 곳이다.

 

1973년 발매된 앨범 '가끔(Now & Then)'의 표지에서 카펜터스는 이 집 앞에 리처드의 붉은색 페라리를 놓고 사진을 찍는 등 이 집을 찾아와 둘러보지 않더라도 늘 마음 속에 담아두고 있다. 리처드는 1997년 중반에 이 집을 매각했다.

 

다우니시(市)는 리모델링 허가신청서가 접수됐고 아직 개조작업 허가는 떨어지지 않은 상태라고 확인해주고 있지만 현 상태대로 집을 보존하려는 팬들에게는 시간적 여유가 그리 많은게 아니다.

 

카펜터스의 앨범을 제작한 A&M 레코드사에서 1981-1990년 일했던 존 콘조얀(57)씨를 비롯한 열성 팬들은 카펜터스의 삶이 담겨 있고 오래전부터 팬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주택이 그대로 존재해야 이유들을 설명하며 리모델링 허가가 나와서는 안된다고 시 당국을 설득하고 있다.

 

일부 팬은 이 집을 사들이거나 본채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방안, 시 당국이 역사적 기념물로 선언토록 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캐나다에 살면서 지난해 이 지역 신문에 특별 기고문을 실었던 린다 티버트씨는 "시의회에 '지역의 명물에 자긍심을 갖고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주지시켰었다"고 말했고 마이애미에 사는 제니버 번씨는 "이 집은 카펜터스가 처음 번 돈으로 부모를 위해 구입한 곳이며 베벌리힐스나 할리우드 대신 선택한 곳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리처드 카펜터는 현재 필리핀에서 현지 출신의 가수 클레어 데 라 푸엔테와 함께 음악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