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1:37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스포츠 chevron_right 축구
일반기사

프로축구 수입 대비 선수 인건비 비율 과도

구단 재정구조 '취약'…결손액 무려 706억원 달해

프로축구 K-리그 구단들이 전체 수입 대비 선수 인건비 비율이 과도하게 높아 재정 건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한국프로축구연맹과 구단들에 따르면 2006년을 기준으로 자료를 제출한 10개 구단의 입장권 수입(추정치)과 타이틀 스폰서 비용, 방송 중계권료를 합친 3대 수입은 137억원에 불과했으나 용병을 포함한 선수 전체 연봉이 총 543억원으로 충당률이 25%에 불과했다.

 

이는 같은 해 3대 수입 대비 선수 연봉 충당률이 72%인 프로농구와 68%인 프로야구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프로축구 수입중 방송 중계권료 56억3000만원과 관중 수입 47억6000만원, 타이틀 스폰서비 33억원 순이었다.

 

반면 10개 구단의 국내 선수 총 연봉은 436억7000만원에 달했고 외국인 선수 몸값도 105억90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지출에서 선수단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육박해 10개 구단의 2006년 수지 현황을 근거로 추정한 결손액은 무려 70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적자 운영이 장기화되면 재정적 기반이 취약한 K-리그 구단들이 조만간 문을 닫아야 한다는 위기감을 불러일으킬 정도의 위험 수준이다.

 

또 광주 상무를 제외한 13개 구단의 선수 1인당 평균 연봉은 최고 1억4500만원에서 6500만원으로 2.8배 차이가 나는 등 연봉 편차가 심했다.

 

이 때문에 프로축구연맹은 구단의 낮은 재정 자립도와 재정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샐러리캡(연봉총액상한제) 도입과 자유계약선수(FA) 취득연수를 종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축구연맹은 지난해 K-리그 중장기 발전계획인 '비전 프로젝트 K' 공청회에서도 이런 개선안을 제시했다.

 

김원동 축구연맹 사무총장은 그러나 "샐러리캡 도입을 검토했지만 시민구단과 기업형 모델이 혼재해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면서 "마케팅 수입을 늘릴 수 있는 만큼 구단들이 운영의 묘를 발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스포츠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