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논술] 건강한 공동체로 가는 길

●생각의 폭을 넓히자 [86] - 제시문

가수 김장훈이 지난 2008년 7월 9일자 뉴욕타임즈에 게재한 '독도 광고'. (desk@jjan.kr)

■ 생각의 폭을 넓히자 - 제시문

 

【가】우리 주위에는 말기 장기 질환으로 고통 받으며 소중한 생명을 잃어가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현대 의학이 아무리 발전하였다고는 하지만, 아직 인간의 장기를 대체할 만한 것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그들의 유일한 희망은 장기를 이식받는 것이다.

 

장기 기증이란 장기 이식을 받으면 살 수 있는 말기 장기 부전 환우에게 자신의 장기를 나누어 줌으로써 생명을 살리는 것을 말하는데, 뇌의 모든 기능이 소실된 뇌사자의 장기를 그 가족이 기증하기도 하고 살아 있는 사람 자신이 생체 장기 기증을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뇌사자 장기 기증 현황을 외국과 비교하여 보면, 에스파냐가 인구 백만 명당 뇌사 기증자 수가 33.8명으로 가장 많고, 미국이 26.9명으로 뒤를 잇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2.9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생활 속의 보건/ Ⅵ. 사회와 건강

 

【나】김장훈은 2008년 7월 9일자 <뉴욕타임스> 에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광고를 게재하여 전 국민을 감동시켰다. 그는 이 신문 A15면에 'DO YOU KNOW?'라는 제목의 독도 광고를 냈다. 독도와 동해에 대한 이 광고를 통해 전 세계에 한국의 역사를 제대로 알림과 동시에 일본 정부에 정확한 역사 인식을 촉구했다. 놀라운 일이었다.

 

김장훈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독도와 동해를 주제로 예산 50억여 원을 들여 국내외 교수, 민간 사학자,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독도와 동해 관련 논문 저술을 지원하는 '세계 논문 페스티벌'을 기획하기도 했다. "광고는 짧고 굵게 화제가 될 뿐"이라며 "장기적으로 세계인의 인식을 바꿀 방법을 찾던 중 세계 논문 페스티벌을 여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고 한다. 그 생각의 깊이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김장훈은 선행을 실천에 옮기기 전까지는 웬만해서는 외부에 알리지 않는다. 또 선행 사실이 알려진 후에는 그 일을 하게 된 배경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가감 없이 밝힌다. 대의에 공감하는 자신의 의도를 솔직하게 밝히는 것이다.

 

- 매력이 경쟁력이다/ 윤은기/ 올림

 

【다】베블런(1857-1929)이 살면서 관찰한, 19세기에서 20세기로 전환하는 기간의 미국 자본주의는 현대 자본주의에 훨씬 근접한 모습이었다. 먼저 산업 혁명은 처음 시작된 18세기보다 훨씬 큰 규모의 '2차 산업 혁명 Second Industrial Revolution'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남북 전쟁이 끝난 뒤 카네기Andrew Carnegie, 밴더빌트Cornelius Vanderbilt 등의 신흥 자본가들은 철도, 철강, 석유 등 2차 산업 혁명의 총아가 되는 산업들을 주도하는 가운데 상상을 초월하는 온갖 불법, 탈법의 수단을 동원했고 그 결과 역시 상상을 초월하는 액수의 재산을 거머쥐었다. 이 '날강도 귀족들robber barons'은 그리하여 노동자들의 저항 따위는 가볍게 짓눌러버리고 사회 전체와 국가, 나아가 법률 체제의 운영마저 좌지우지하는 절대 권력을 움켜쥐었다. 이 과정에서 기업의 소유와 지배 구조에도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 논술문 작성하기 - 생각 정리

 

≪논제≫ 제시문 【나】와 【다】를 비교 분석하고, 제시문 【가】와【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근거를 들어 논술하시오.

 

? 제시문 【나】와 【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술하고, 제시문 【가】의 장기 기증이 저조한 문제와【다】의 자본가들이 불법과 탈법을 저지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 근거를 들어 논술하시오.(900자 내외)

 

? 논술문 보낼 곳(E-메일) : chyb01@paran.com(01은 숫자)

 

■ 어떻게 설득할까 - 토론하기

 

≪논제≫ 제시문 【가】와 【다】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고 제도를 개선하면 해결 가능한가?

 

? 제시문 【가】와 【다】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고 제도를 개선하면 해결 가능한가에 대해 구체적 근거를 들어 토론하시오.(600자 내외)

 

■ 어떤 것이 출제됐나

 

희생 정신과 봉사 정신은 공동체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그 중 기부문화는 귀족의 역사가 긴 유럽사회에서 유래된 「'Noblesse(명예)'만큼 ' Oblige(의무)'」를 사례로 제시할 수 있다. 단지 부유하다는 것만으로는 사회적 명예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은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 일 것이다. 한국의 부유층들이 사회적으로 명예를 얻고 존경받기 위해서는 유럽이나 미국처럼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적극적으로 실천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장기기증은 남의 생명을 살리는 숭고한 사랑의 실천이다. 그런 의미에서 좋은 일이며, 좋은 문화의 정착이기 하다. 우리사회가 점차 이기적이 되면서, 배고픈 사람들에 의한 강도와 절도, 더 가지려는 자들에 의해 착취와 약탈 등의 범죄가 늘어나는 상황이다. 이러한 범죄도 나눔의 문화가 정착된다면 결국에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장기기증 문화가 나눔으로 자리 잡는다면 결국 나와 모두를 위해 좋은 관습으로 정착될 것이다.

 

반면에 착취와 약탈의 아픈 역사도 우리 인류는 가지고 있다. 먼저 국제적으로는 상업 지본에 의해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및 인도를 비롯한 동양이 착취당하고 약탈당한 역사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내용이다. 산업 자본과 독점 자본도 마찬가지로 착취와 약탈에 열중이었다. 지금은 다국적 자본에 의해 많은 국가와 노동자들이 착취를 당하고 있다. 다음으로 국내적으로도 독재 정권에 의해 착취당하는 국민과 악덕 기업주에 의해 착취당하는 노동자가 많이 있다.

 

기부와 기증은 따뜻한 마음을 가진 특정의 사람들만이 하는 일이 아니다. 모든 사람이 전부 따뜻한 마음을 가질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유럽처럼 우리나라도 가능한 일이며, 더욱 잘할 수도 있는 일이기에 삶의 질이 높은 사회가 될 수 있다. 이렇게 현대 모든 국가들이 지향하고 있는 희생과 나눔의 문화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주제의 내용들이 대학 논술의 기출 문제로 자주 출제되고 있다.

 

■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 - 토론 거리

 

≪장기 기증≫

 

▲ 장기 기증이 저조한 원인은 무엇인가?

 

▲ 장기 기증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 장기의 매매는 왜 바람직하지 않은가?

 

≪선행≫

 

▲ 선행이 어느 시대나 사회에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국가의 역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선행은 왜 필요한가?

 

▲ 국가가 어떻게 하면 개인의 선행이 확대되겠는가?

 

≪자본≫

 

▲ 자본의 궁극적 목적은 이윤 추구뿐인가?

 

▲ 자본은 항상 양심과 염치가 없는 것인가?

 

▲ 부유층들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어떤 교과와 관련됐나

 

▲ 사회 Ⅶ. 국민 경제와 합리적 선택

 

▲ 경제 Ⅲ. 경제 주체의 합리적 선택

 

▲ 생활경제 Ⅰ. 일상 생활과 경제

 

▲ 사회?문화 Ⅲ. 공동체 생활과 지역사회

 

▲ 한국지리 Ⅳ. 생활권의 형성과 변화

 

▲ 전통윤리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새만금 글로벌 K-씨푸드, 전북 수산업 다시 살린다

스포츠일반테니스 ‘샛별’ 전일중 김서현, 2025 ITF 월드주니어테니스대회 4강 진출

오피니언[사설] 진안고원산림치유원, 콘텐츠 차별화 전략을

오피니언[사설] 자치단체 장애인 의무고용 시범 보여라

오피니언활동적 노년(액티브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