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수찬 교수, 과학벨트 추진 관련 토론회서 주장
전북도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기초과학연구원 지역연구단을 유치하기 위해선 정부가 제1 원칙으로 내세운 수월성 기준에 맞는 ‘스타 과학자’를 단장으로 선발하는 전략을 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역 안배론’이나 ‘전북 소외론’만으론 타 지역과 차별화가 안 될뿐더러 정부를 설득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사)한국과총 전북지역연합회와 전북대, 전북테크노파크가 9일 전북대 진수당에서 마련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계획 관련 2011 전북 지역 토론회’에서 채수찬 카이스트(KAIST) 교수는 “교육과학기술부 (지역연구단) 선정 기준의 핵심은 ‘연구를 가장 잘할 수 있는 데 주겠다’는 것”이라며 “지역 중심으로 연구단장을 뽑지 말고, 대형 연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고, 관리 능력도 갖춘 세계적 과학자를 단장으로 뽑는 게 현실성 있는 접근”이라고 주장했다.
과학벨트 유치에 실패했던 전북도는 연간 운영비만 100억 원 안팎인 ‘금싸라기’ 같은 지역연구단 유치에 사활을 건 모양새다. 도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과학연구소 △KIST 복합소재연구소 △국가핵융합연구소 융복합플라즈마연구센터 △한국생명과학연구원 바이오소재연구소 등 9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집적된 점을 내세워 ①탄소소재 ②방사선과학 ③플라즈마 ④바이오 및 IT 융합 분야 등 최소 4개 이상 지역연구단을 유치,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