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완주 용진에 종합스포츠타운 조성키로

'상생 발전 사업' 합의 내용

지난 2009년 행정안전부가 주도했던 시·군 자율통합이 정부의 인센티브를 얻는 것이었다면 이번 통합논의는 양측이 상생할 수 있는 최적의 합의점을 찾는게 관건이었다.

 

20여년전부터 시작된 시·군 통합논의가 계속적으로 무산된 사례에서 보듯 양 지역의 입장차는 너무 커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게 쉽지 않았다. 실제 최종 서명 직전까지 일부 합의 내용이 수정되는 등 양측 모두가 예민했다. 합의된 10개 전주·완주 상생발전사업 하나 하나가 수차례 검토 및 토의를 거친 사업들이다.

 

어느 한쪽의 통큰 양보없이는 접점 찾기가 힘들어 보였다. 결국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송하진 전주시장의 양보가 실타래처럼 얽힌 통합논의의 실마리를 제공했다. 그런 점에서 볼때 임정엽 완주군수는 전주시와 대등한 조건에서 통합논의를 진행하면서 완주군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사업을 이끌어내는 실리를 챙겼다.

 

막판까지 쟁점이 됐던 사안은 종합스포츠 타운 건설과 농업발전기금 확보문제. 이들 사안은 당초 지난 30일 오전으로 예정됐던 기자회견이 오후로 연기된 주된 이유이었다.

 

김완주 지사는 이날 열린 기자회견장에서 "통합문제의 최대 이슈는 스포츠 타운 문제였다. 타운을 전주시에 건립할 계획이었는데, 완주군으로 옮기는 문제에 대해 끝까지 논란이 있었다"며 고충의 일단을 소개했다. 종합운동장과 실내체육관 등이 들어서는 종합스포츠 타운은 전북도 중심으로 공동건설해 전주·완주 경계구역인 완주군(용진면)에 조성키로 했다. 반면 야구장은 전주에 남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농업발전기금(1000억원)은 완주군 농민들이 '통합이 되면 농업부문에 대한 투자가 소홀할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면서 제안된 사업. 그러나 적잖은 예산이 실제 투입되는 만큼 각 자치단체에 상당한 부담이 돼 협상의 최대 걸림돌이 됐다.

 

김 지사는 "2년간 150억원씩을 편성하는 것으로, (재정형편상) 부담이 됐다. 더구나 의회와의 협의과정 때문에 가장 큰 쟁점 사안이었다"고 말했다.

 

우려가 됐던 통합시 청사 위치 문제는 전주시의 양보로 의외로 쉽게 풀렸다. 대신 통합시 명칭은 '전주시'로 합의됐다. 올 추경부터 예산을 세워 사업을 발주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여기에 이들 합의 사항의 이행력 확보를 위해 막판 합의문에 추가 내용이 삽입됐다. '상생발전사업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본 합의문은 무효로 하고 완주군은 통합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다'는 내용이다. 임정엽 군수의 요구사항이었다.

관련기사 전주·완주 통합 '첫 단추' 끼웠다
김준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새만금 글로벌 K-씨푸드, 전북 수산업 다시 살린다

스포츠일반테니스 ‘샛별’ 전일중 김서현, 2025 ITF 월드주니어테니스대회 4강 진출

오피니언[사설] 진안고원산림치유원, 콘텐츠 차별화 전략을

오피니언[사설] 자치단체 장애인 의무고용 시범 보여라

오피니언활동적 노년(액티브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