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 연합캠퍼스 연구단(사이트랩) 선정시 지역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이트랩은 기초과학연구원이 오는 2017년까지 50개를 조성해 수월성이 뛰어난 연구자(단장)를 중심으로 1개소당 연간 약 100억 원, 10년간 1000억 원가량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세계적인 학술지의 논문 게재 횟수와 저명한 학자의 평가 등이 기준이다보니 특정 분야에서 독보적인 업적을 이룬 학자들이 선정된다.
현재까지 17개가 확정됐지만 지역 거점 대학은 한 곳도 없다. 세계적인 석학의 지역 기피 등으로 지역 대학은 불리한 여건에 놓여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하소연이다.
전북대의 경우도 지난 5월 1차 평가 때 1명을 신청했지만 선정되지 못했고, 이번달 2차 평가에도 서류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더욱이 2차 응모 시에는 탄소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을 영입하는데 실패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