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뒤늦게 '성적별 이동수업 금지' 공문 / 일선학교 "학기 초 반편성 마쳤는데" 볼멘소리
전북도교육청이 교과교실제 시행을 두고 교육부와 다른 방침을 일선 학교에 전달하면서 교육현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교과교실제를 운영하고 있는 도내 156개 중고등학교에 '성적순 수준별 이동수업 금지 안내'란 제목의 공문을 보냈다.
공문을 보면 "성적순 수준별 이동수업은 학생 간 위화감 조성 및 경쟁교육으로 많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며 위반시에는 인사 및 행재정적 제재를 취한다고 명시돼 있다.
교과교실제는 중·고교에서 과목별로 전용 교실을 마련해 학생들이 수업 시간표에 맞춰 해당 교실을 이동해 수업을 듣는 것으로, 교육부는 능력에 따른 수준별 이동 수업을 지침으로 정했다.
이와 관련 일선 중·고교에서는 도교육청의 지침에 대해 반발 조짐이 확산되고 있다. 올해 초 수업계획안 등 교육과정의 설계를 이미 끝마친 상황에서 갑자기 바꾸는 것은 학생과 교사들에게 혼란만 준다는 것.
도내 한 고교 교장은 "학기 초에 이미 반편성을 마치고 수준별 수업을 하고 있는데 그 방식을 갑작스레 바꾸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우리만 국가적 교육지침을 무시하면 향후 어떤 불이익을 받을지 알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또 이미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준별 문항을 출제한 중간고사가 완료돼 변경된 교육방식을 기말고사에 어떤 방식으로 접목할 지도 고민이다.
전주의 한 고교 교사는 "수준별 시험문제를 달리해 이미 평가가 끝난 상황에서 다른 방식을 내려보내면 학교에서는 또 다른 평가방식을 준비하는데 시간을 뺏긴다"며 "이는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피해가 가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수준별 이동수업은 자칫 우열반으로 변질돼 학생들의 열패감을 불러올 수 있는 비교육적 방식이라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또래학생 간 학습지도 등 학급 내 수준별 협력학습으로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키우는 것이 교과교실제의 본래 취지라는 주장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아이들 수준을 상, 중, 하 등으로 획일적으로 나누는 것은 경쟁교육을 조장하는 비교육적 방식"이라며 "새 정부에서도 경쟁위주 교육을 지양하고 있는 만큼 그에 발맞춰가는 것이다"고 말했다.
반면 교육부는 교과교실제는 학생 간 경쟁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학생들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맞춤형 학습을 통한 성취감 고취에 있다는 주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6일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우리 계획안이 법적 효력은 없지만 지침으로 내려간 만큼 일선 시도교육청은 준수해야 한다"면서 "이동수업을 거부하는 것은 교과교실제의 취지를 훼손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도교육청에 대해)상급기관의 지도감독권을 발휘해서라도 교과교실제의 기본 취지를 살리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