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1:15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자치·의회
일반기사

[미륵사지·왕궁리 유적은] 미륵신앙 기초 '3탑 3금당' 독특한 가람구조

익산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등재

익산 미륵사지와 왕궁리유적은 고대 동아시아 문명의 발달에 절정을 보여주는 탁월한 가치를 지닌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우선 익산시 금마면 미륵산 남쪽 기슭의 미륵사지(사적 제150호)는 용화산 부근에서 홀어머니와 함께 마를 캐며 살던 서동과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와의 국경을 넘은 러브스토리로 잘 알려진 고찰이다. 일연 스님은 삼국유사에서 후에 백제 30대 무왕이 된 서동이 고향인 용화산의 사자사(獅子寺)를 찾아갈 때 연못에서 미륵 삼존불이 나타나 영접하는 것에 감동하여 사자사의 지명법사에게 명하여 이곳에 절을 짓도록 했는데, 약 40년이 걸렸다. 미륵사를 완공한 후 용화산은 미륵산으로 불렀는데, 산세가 사자처럼 생겼다고 해서 사자봉이라고도 했다. 사자봉에는 마한의 도읍지로 알려진 기준성(箕準城)터가 있으며, 현재 약1822m가량 성터가 남아있다.

 

1993년 발굴조사에서 사자사(師子寺)라는 명문 기와가 발견되어 삼국유사의 기록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372년 고구려 소수림왕 2년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한 이후 삼국은 처음에는 목탑을 세우다가 삼국 최초로 백제가 석탑을 세운 곳이 미륵사였다.

 

우리에게 기억되고 있는 것은 일제강점기 때 무너진 석탑을 시멘트로 발라놓은 모습이었으나, 1990년부터 대대적인 발굴조사에 나서서 1998년 3금당과 3개의 탑지를 찾아내고, 동·서탑은 석탑이고 가운데 탑은 목탑인 것도 밝혀냈다.

 

백제의 국가사찰인 미륵사지는 동아시아 최대의 가람이며, 우리나라 불교건축을 대표할수 있는 유적으로 미륵신앙을 기초로 한 3탑 3금당의 독특한 가람구조를 지니고 있다.

 

익산 왕궁리유적지는 왕궁면 왕궁리와 금마면 동고도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적이다. 1998년 9월17일 사적 제408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21만 6862㎡이다.

 

1989년 7월부터 문화재관리국에 의해 학술발굴조사되었다.

 

인접한 미륵사지와 함께 최대 규모의 백제 유적으로 꼽히며, 백제의 왕도였다는 왕도설 등으로 백제사의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이 유적에는 백제 무왕 때인 639년에 건립하였다는 제석정사(帝釋精舍)터를 비롯해 그 안에 관궁사·대궁사 등의 절터와 대궁터가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진 토성터 등이 있어 이곳이 왕도였거나 왕도와 직접 관련이 있는 유적이라는 학설이 지배적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대동지지,익산읍지 등의 문헌들은 이곳이 ‘옛날 궁궐터’ ‘무왕이 별도(別都)를 세운 곳’, ‘마한의 궁성터’라고 적고 있어 이를 뒷받침 한다. 또한 왕궁리 유적에는 국보 제289호인 왕궁리5층석탑이 있으며 1989년 이후 실시된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발굴조사 결과 금당지와 강당지 등 사찰의 배치를 알 수 있는 건물지 유구와 유물, 사찰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둘레 약 1.5㎞의 석성 등이 확인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엄철호 eomch@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