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24개 노동·사회단체 촉구
전주시가 내년도 생활임금제 책정을 위한 생활임금위원회를 다음달 중으로 열 계획인 가운데 노동자의 인간적인 삶을 보장할 수 있는 적정 수준의 생활임금을 책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저임금·최저생계비 현실화를 위한 전북공동투쟁본부는 23일 전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5월 전주시가 책정한 생활임금(시급 기준)은 6060원에 불과하다. 당시 생활임금위원회에는 임금 삭감에 앞장서온 노무사가 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졸속으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전북공동투쟁본부는 민주노총 전북본부와 민생경제연구소 등 전북지역 24개 노동·사회단체로 구성됐다.
이 단체는 “이렇게 결정된 생활임금은 올 최저임금보다 480원 오르는데 그쳤다”면서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누릴 수 있는 수준의 생활임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또 “조만간 열릴 전주시 생활임금위원회에서 적정 수준의 생활임금이 책정될 수 있도록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전주시의회는 집행부에서 제출한 ‘전주시 생활임금 조례안’을 가결 처리했다.
이에 따라 지난 7월 1일부터 시 소속 기간제근로자 350여명은 올 최저임금(시간당 5580원) 보다 많은 생활임금(6060원)을 적용 받았다.
특히 노동계는 내년도 생활임금도 최저임금(시간당 6030원)을 기준으로 책정되면 ‘근로자들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한다’는 생활임금제의 취지와 맞지 않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한편 전주시는 다음달 초 조봉업 부시장·노무사·노동계 인사 등이 참여한 가운데 생활임금위원회를 열어 소속 기간제근로자에게 지급할 내년 생활임금을 확정지을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