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치 업무 재개에 야권 반발 / 靑 "최소한의 국정일 뿐" 반박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촉발 이후 숨을 죽이고 있던 청와대가 반격에 나섰다. 사실상 마비상태였던 청와대가 일부 국정 운영을 재개하면서 이를 비판하는 야권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해운대 엘시티(LCT) 비리 사건을 철저히 수사해서 엄단하라고 김현웅 법무부 장관에게 지시하는가 하면 외교부 차관 인사를 단행하고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을 포함한 정부 고위 실무대표단을 미국에 급파하는 등 업무를 재계했다.
이에 야권은 ‘꼼수’ 또는 ‘물타기’라며 강력 반발했지만 청와대의 반응이 종전과 다르다.
청와대 관계자는 17일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기본적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업무를 비판하는 것은 야당 프레임의 논리로 우리를 완전히 무장 해제 시키겠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청와대의 태도변화와 관련,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우선 혼란한 시국에서도 국정의 운영주체로서 최소한의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이미지 회복과 지지층 재결집을 꾀하겠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이 여야 합의로 국회가 추천하는 총리에게 법적 권한 보장을 약속하고, 여야 대표에 영수회담을 제안하는 등 정국 해소를 위한 전향적 태도를 보였음에도 강경일변도로 대통령 퇴진을 압박하며 정치적 해결보다는 장외투쟁을 선택한 야당과 차별화를 시도하겠다는 계산도 있어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