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탄소밸리 완성도 제고 전문가 간담회 / 범용화 중점 R&D 추진 등 다양한 의견 나와
“탄소산업 시장은 재작년과 작년, 작년과 올해가 다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인하대 화학과 박수진 교수)
“탄소산업에 대한 투자 시기가 도래하지 않았을 뿐 현재도 기업의 의지는 상당합니다. 시기의 문제일 뿐입니다.” (KIST 전북분원 양철민 다기능구조용복합소재연구센터장)
탄소산업 전문가들은 19일 ‘탄소밸리 완성도 제고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에서 당근과 채찍을 번갈아 들면서 전북 탄소산업 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전문가들은 △R&D 성과물 등 사업화 촉진 △구축된 인프라 활용도 제고 △기업 집적화 구현 △탄소산업 육성 역량 등 지원 시스템 혁신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
탄소산업 R&D 과제와 인프라에 대해 효성 방윤혁 상무는 철저한 ‘수요’ 관점에서의 R&D와 인프라 구축을 강조했다. 방 상무는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첨단화보다는 범용화에 중점을 두고 수요 관점에서 R&D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탄소소재는 대기업, 탄소소재를 이용한 부품 개발은 중소·중견기업의 몫이므로 대형 설비보다 작은 성형·가공 설비를 다양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R&D와 인프라 사업은 별개의 로드맵이 아닌 하나의 로드맵을 가지고 진행해야 한다”며 “특히 고비용 시장(항공·자동차·국방 등)과 기존 시장을 대체하는 저비용 시장(스포츠·생활용품·의료용품 등) 개발이라는 투 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D 성과물과 관련한 문제점으로 탄소밸리 조성사업과 지역진흥사업 등을 통해 개발된 R&D 성과물이 사업화되지 못하고, KIST 전북분원과 한국탄소융합기술원에 구축된 장비의 활용도가 저조하다는 점이 지적됐다. R&D를 위한 R&D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KIST 전북분원과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의 성형·가공, 시험·분석장비 등 총 312종 가운데 가동률이 20% 미만인 장비는 100종에 달했다. 가동률이 저조한 장비의 경우 고가의 사용료, 오퍼레이터(장비 조작자) 부족 등으로 인한 기업의 수요 부족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를 위해 전북도는 기업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범용 장비를 확보하고, 대형 공정 장비 사용료 지원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탄소산업 육성을 총괄할 컨트롤타워 부재와 기관 간의 역할이 불분명하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언급됐다. 이와 관련해 탄소융합기술원의 국가연구기관 전환으로 위상을 강화하고, KIST 전북분원과 한국탄소융합기술원 간의 협의회를 정례화해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