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04:11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국회·정당
일반기사

[대선예비후보, 전북현안을 말하다 ④ 군산조선소 등 지역현안] '도크폐쇄 문제' 해법 둘로 나뉘어

문재인·안철수·이재명 "정부지원, 존치해야" / 안희정·유승민 "할 수 있는것 집중을" 신중론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도크폐쇄 결정으로 지역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또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지역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대선 예비주자들은 군산조선소 도크폐쇄 문제 해법과 관련,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도크를 유지시켜야 한다는 의견과 조선소 유지 때와 대체산업 육성이 지역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로 나뉘었다.

 

우선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조선 산업은 불경기가 있으면 호황기가 있다. 공공선 발주나 노후 선박 교체 등을 최소한의 물량이라도 배정받아 버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도 “신규 물량이 있을 경우 우선적으로 군산에 배치하고, 필요한 정부 지원을 통해 조선 산업 경기가 살아날 때까지 존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용 최소화, 이익 최대화는 옛날 방식의 경영”이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현대중공업을 설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성남시장(민주당)은 “정부가 다 틀어쥐고 있는 현상이 군산조선소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규정을 고쳐 공공운용선을 선박펀드를 통해 미리 발주하든지 해외에서 선박 발주가 들어오면 정부가 보증을 서 조선소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안희정 충남지사(민주당)와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은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안 지사는 “약간의 일거리를 줘 조선소를 돌리는 게 좋은 것인지, 대체산업을 육성한다면 지역 상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전면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유 의원은 “군산조선소 존폐 결정은 민간기업인 현대중공업이 하기 때문에 국가가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별로 없다”며 “오히려 이럴 때는 새만금 개발과 국제공항을 더 빨리 추진한다는 식으로 국가가 해줄 수 있는 것을 약속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와 함께 이전기관 지역인재 30% 채용 법제화와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와 관련, 안 전 대표는 “30% 법제화에 찬성한다.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에 한해 차액을 지원하는 방법을 활용하면 청년은 경력을 쌓고, 중소기업은 인력난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시장도 “공기업의 지방 이전 취지에 벗어나지 않도록 해당 지역 청년 채용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전북지역의 심각한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안 지사는 “대기업에서 수직계열화 돼 있는 한국 기업 생태계 개선이 필요하다”며 “노동시장에 대한 동일가치노동, 동일 임금에 대한 노동조합 정책, 노사정 대타협을 끌어내는 정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비정규직 문제 이대로 두면 양극화 심화된다”며 “비정규직 총량 제한제로 대기업, 공기업, 금융회사부터 비정규직 줄여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밖에 2023년 세계잼버리대회 유치와 관련해서도 긍정적 목소리가 나왔다.

 

유 의원은 “모든 외교 채널을 동원해 경쟁에서 이기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이 시장은 “시설투자도 필요하지 않아 큰 재정부담 없이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사업”이라며 대통령이 되면 반드시 유치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