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 밝혀질 것" 발언에 야권 "분열 조장" 비판 / 한국당, 논평 없이 잠잠…보수결집 여부 촉각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과에 침묵으로 일관하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사실상 불복의사를 밝히면서 조기대선 정국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정치권은 박 전 대통령의 불복 선언이 향후 대선전에 어떤 변화를 줄지에 주목하고 있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 12일 삼성동 사저로 퇴거 한 뒤 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을 통해 “모든 결과에 대해서는 제가 안고 가겠다”면서도 “시간이 걸리겠지만 진실은 반드시 밝혀진다고 믿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헌재 결과에 승복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탄핵 정국 속에서 진보와 보수로 갈라진 국민을 향한 통합메시지와도 거리가 멀어 발언 직후 야권을 중심으로 집중 포화가 쏟아지고 있다. 또 국민들의 분노도 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박 전 대통령의 입장을 각 당의 대선전에서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가기 위해 총력전에 나선 모습이다. 우선 야권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비판수위를 높였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불복이라면 그 책임은 몇 갑절 더 커질 것이다. 촛불 행진이 대통령 탄핵까지 가는 게 첫 결실이었다면 새로운 정권을 세우는 일이 남은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는 “억울하다면 지금이라도 검찰 수사에 적극 임해 진실을 소명해야 한다”며 “박 전 대통령이 일부 극단적인 지지자에 기대 또다시 대립과 갈등을 조장한다면 국민이 용서치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야권의 맹폭은 박 전 대통령의 이 같은 입장으로 보수층이 결집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진보층의 지지를 공고히 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헌재 결정 승복을 당론으로 정한 자유한국당은 박 전 대통령의 입장에 대해 공식 논평조차 내지 않고 곤혹스러워하는 기색이다. 이는 박 전 대통령의 입장이나 거취가 대선 표심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판단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박 전 대통령은 향후 자신의 뇌물죄 의혹 등에 대한 검찰 수사를 받아야 하는 처지여서 조기대선 정국과 맞물려 박 전 대통령의 수사 결과나 신병 처리 결과가 선거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박 전 대통령이 동정론 확산을 위해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내놓을 경우 의외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박 전 대통령의 입장이 친박 표심을 비롯한 보수층 표심 결집을 겨냥하며 대선전에 개입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나 오히려 중도보수층의 마음을 돌아서게 하고, 진보층의 결집을 가져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