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 무급휴직자 부평공장으로 전환 복직 추진
군산공장 근로자들 고용보장 불투명
일부 근로자들, 군산공장 매각 후 군산 잔류 희망
한국지엠이 군산공장 시설물을 반출하면서 조만간 매각협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현재 잔류한 근로자(무급휴직자)들의 고용 보장 문제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지엠은 최근 한 언론에 지난해 6월부터 무급휴직에 들어간 군산공장 소속 305명의 근로자를 올해 안에 부평 2공장에 배치, 복직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근로자들은 복직 등 고용보장에 대한 확신이 없다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의원(군산)과 군산경제정의실천연합에 따르면 한국지엠이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향후 근로자들의 거처는 불투명해지고, 전환 배치 예정인 부평공장은 이들을 한번에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상당히 부담스러워하기 때문이다.
300여 명의 근로자를 일시에 받아들일 경우 자칫 이들을 주축으로 한 강성노조가 형성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가운데 일부 근로자들은 처우 및 생활 문제 등으로 부평공장 전환 배치를 탐탁지 않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들은 군산공장 잔류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들의 군산공장 잔류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근로자들이 군산공장에 잔류하기 위해서는 한국지엠을 퇴사하고 인수사에 재취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군산공장 인수 의향을 밝힌 컨소시엄사 또한 이들의 고용승계에 대해 부평공장과 같은 이유로 난색을 보이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 때문에 근로자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 컨소시엄사가 고용 승계를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설득하길 바라고 있다.
김 의원은 “인수사 측에서 이들의 고용 승계를 꺼리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고용 승계 및 보장이 매각협상의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노조를 대변하고 있는 서지만 군산경실련 집행위원장은 “그간 지엠의 행태를 봤을 때 고용 보장 약속은 믿을 수 없다”며 “현재 남아있는 근로자들 중 일부는 처우 문제 등을 놓고 부평공장 전환배치를 꺼리고 있으며, 인수사의 고용 승계를 통한 군산공장 잔류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문제에 대해 정부와 전북도는 한발 물러서 관망하는 분위기다.
산업부 관계자는 “계약조건을 보지 못해 답변할 수 없다. 다만 GM 내부적으로 계획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고용 보장 및 승계는 기업 간 문제로 정부가 개입할 수 없으며, 기업들이 어떤 계획을 갖고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을 아꼈다.
전북도 관계자는 “근로자들의 일자리는 어떠한 형태로든 계속 유지돼야 한다”며 “고용 문제는 한국지엠과 인수사간 협의사항이지만 원만히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컨소시엄사와 한국지엠은 군산공장을 놓고 약 1700억 원~1800억 원이라는 구체적인 금액까지 오가는 상황이며, 매각이 성사되면 지역에서 약 700여 명의 근로자를 고용, 연 7만대의 전기차를 위탁 생산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