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20:30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정세용의 취업 바로보기
일반기사

세대별 직장 가치 달라

세대별 직장에 대한 가치관이 달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밀레니얼세대 절반 이상은 더 이상 좋은 직장이 성공의 필수요소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함께 세대별 성인 남녀 4843명을 대상으로 ‘직장의 가치’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먼저 ‘성공적인 삶을 위해 반드시 좋은 직장에 들어가야 하는지’ 질문한 결과 고속성장과 경제개발의 주역인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의 경우 73.5%가 ‘그렇다’고 답해 다른 세대에 비해 직장의 가치를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후세대(1940년대~1950년대 초반생) 70.2% △386세대(1960년대생) 55.0% △X세대(1970년대생) 51.9% 순이었으며, 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생을 일컫는 △밀레니얼세대들은 46.4%만이 ‘성공적인 삶을 위해 좋은 직장이 필수’라고 응답해 직장에 대한 평가가치가 가장 낮은 세대로 조사됐다.

세대별로 생각하는 ‘성공적인 인생’에 대한 견해도 다소 차이가 있었다.

먼저 △전후세대의 경우 ‘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업을 가졌고, 그 분야에서 인정받는 삶(31.6%)’이 근소한 차이로 1위를 차지했으며, △베이비붐세대의 경우 ‘안정적인 수입을 올리며 가족과 화목한 삶’과 ‘돈을 많이 벌어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이 각각 26.5%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반면 △386세대(62.1%)와 △X세대(66.2%)의 경우 ‘큰 걱정 없이 안정된 수입으로 가족과 화목한 삶’을 선택한 비율이 절반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밀레니얼세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타 세대에 비해 ‘수입은 적지만 좋아하는 일, 취미활동을 즐기면서 사는 삶이 성공적이다(27.5%)’고 답한 비율이 월등히 높아 차이가 있었다.

한편,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면서 세대차이를 가장 많이 느끼는 세대로는 △386세대(47.1%)와 △X세대(38.0%), △베이비붐세대(36.8%) 모두 밀레니얼세대를 1위로 꼽았다. △밀레니얼세대는 386세대(25.3%), X세대(25.2%)와 세대차이를 느끼는 경향이 많았으며, △전후세대는 X세대(38.6%)를 1위로 꼽았다.

이들이 세대차이를 느끼는 상황도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전후세대의 경우 ‘사용하는 단어나 말투가 다를 때(22.8%)’와 ‘회식 등 친목 도모 모임에 대한 견해차이(21.1%)’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베이비붐세대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다를 때’와 ‘개인주의 성향’을 선택한 비율이 각각 20.6%로 공동 1위에 올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