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제외로 한일 경제전쟁 서막이 오른 가운데 각국 도시와 도시가 맺었던 자매결연 및 우호교류 등이 중단됐거나 무기한 보류되고 있다.
한일 두 국가 간 쌓인 오해와 맺힌 앙금이 풀어지지 않은 한 이번에 촉발된 경제전쟁은 장기화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각국 도시간 협업 역시 양국의 마찰이 불식돼야 교류가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
5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도를 포함한 14개 시군 자치단체와 의회는 길게는 30년 전부터 일본 자치단체 및 의회와 결연이나 협약을 체결해 국제교류를 진행해 왔다. 국제교류는 선진지 벤치마킹은 물론 해당 도시 농산물과 제조품목의 판로개척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이번 경제전쟁으로 국내 극일감정이 최고조에 이르면서 전북을 포함한 전국 일선 자치단체 및 의회가 일본과의 교류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전북도를 비롯한 14개 전북 자치단체도 “일본이 경제보복에 대한 반성이 없다면 일본 지방정부와의 우호관계도 끊어질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우선 전북도는 교류 30주년을 맞은 일본 가고시마현과의 방문교류 일정을 취소했다. 가고시마현의 지사와 가고시마현 의회 의장단 일행은 오는 10월 29일부터 10월 말까지 전북방문이 예정돼 있었다. 방문인원만 70명에 달해 대규모의 행사로 치러질 예정이었지만 한일관계가 급속히 악화되면서 가고시마현 측에 ‘행사진행이 어렵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송 지사는 “교류 30주년이라 하더라도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일본과의 우호적인 활동을 이어나가기엔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가고시마현과 추진하던 문화교류행사와 청소년 교류행사 등도 잠정 중단됐다.
가고시마 외에도 이달 2일로 예정된 일본 이시카와현과의 청소년 홈스테이 교류 행사도 취소된 데 이어 정례적으로 이뤄지던 공무원 상호 파견 및 한중일 환경협력사업도 무기한 연기됐다.
전주시와 군산시 정읍시 등은 일본 지방정부와 자매결연활동을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다른 일선 자치단체 역시 일본과 교류활동에 대해 취소나 보류를 검토하고 있다.
전북교육청도 일본의 경제 보복에 맞서 공무출장과 현장학습 제한 등을 권고했다.
전북도의회를 비롯한 지방의회도 각각 ‘노 재팬(NO JAPAN)’ 현수막을 내걸고 극일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전북도의회 관계자는“그간 벤치마킹과 지방의회 간 소통행사 등 관례적으로 진행돼왔던 일본방문은 물론 답방추진도 당분간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제교류지역을 신남방과 북방지역으로 넓혀, 국제교류활동에 있어 일본 등 특정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