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23 13:28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일반기사

군산GM이 찍힌 이유(?)

김영곤 논설위원

그제 한국GM 노조가 한 달간 벌인 파업을 중단하고, 회사측과 협상에 나선다는 뉴스를 접하고 일단 안도했다. 지난해 5월31일 GM 군산공장 폐쇄로 1만 여명이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은 트라우마 때문이다. 근로자는 물론 가족, 시민, 군산 전체가 아직도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 또다시 GM얘기만 나오면 그때 군산공장 문을 닫을 때 악몽이 떠올라 말을 잇지 못하는 실직자들이 있다.

정들었던 삶의 터전이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진다는 현실에 고통과 절망감은 형언할 수 없었다. 하루하루 근근이 삶을 지탱하는 실직자들은 일부가 무기한 단식농성과 고공철탑에 올라 생존권을 부르짖고 있는 상황이다.

군산공장은 지난 1996년 설립돼 한국GM의 최신식 막내공장이었다. 부평공장(1983년)과 창원공장(1991년)보다 늦게 지어지면서 설비상태와 물류환경 등 여건이 훨씬 나았다. 부평과 창원에서 생산된 차량은 인천과 마산으로 옮겨 배에 실었지만 군산공장은 바로 옆에 전용부두까지 있었다.

누가 봐도 여건이 괜찮은데 왜 군산공장이었을까.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우선적으로 공장이 있는 도시의 정치력에서 군산이 인천이나 창원보다 힘의 열세에 있었다는 것이다. 본사나 마찬가지인 부평공장의 존폐는 GM의 한국 철수로 인식될 만큼 수도권 경제·민심과 직결됐다. 104만 통합 창원시의 인구는 군산 27만보다 4배나 많았다. 국회의원도 창원 5명, 군산 1명이다. ‘진보정치 1번지’로 불릴 만큼 노동자와 노조의 영향력이 절대적인 창원이 군산을 앞섰다. “처음엔 창원공장을 폐쇄하려고 했다가 잘못 건드리면 정치권과 노동자의 감당하기 힘든 저항을 부를 수 있다고 판단해 군산을 선택했다” 는 얘기가 공공연히 돌았다.

이처럼 GM군산공장 폐쇄만 하더라도 경제적인 실리보다 정치적 이유로 결정됐다는 징후들이 곳곳에서 감지된다. 군산은 GM폐쇄에 이어 군산조선소 가동중단까지 엎친데 덮쳐 절망적인 고용위기 상태에 빠져 있다. 최악의 상황에서 정부가 획기적인 지원을 해도 모자랄 판에 취업의 등용문이라는 군산의 전북인력개발원마저 휴원한다는 소식에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배신감을 느꼈다. 한마디로 군산을 두 번씩이나 죽이는 ‘부관참시’행태라고 분노를 삼켰다. 뒤늦게서야 부산을 떠는 전북도의 뒷북행정도 낯설지가 않다. GM폐쇄, 현대조선소 중단때도 마찬가지였다. 이래저래 힘겨운 상황이 계속되는 군산지역에 ‘9회말 역전’ 의 함성을 머잖아 듣고 싶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영곤 kyg@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