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춘 민노총 군산지부장 “중앙, 전북본부 반대에도 나선 이유는 꼭 해야한다는 절실함”
전북도 군산형 일자리 후속조치 추진, 상생협의회 구성, R&D 지원, 규제자유특구 지정 추진 등
서지만 노사민정실무협의회 위원장 “인력양성 위한 기관 유치, 전기차 관련 인프라 조성 등 다각적 노력 필요”
‘절실함’ 군산형 일자리를 말할 때 도민들의 마음에 가장 와닿는 단어다. 군산형 일자리는 참여한 노·사·민·정 모두에게 절실함이 묻어있다. 지역경제가 무너진 후 노조와 기업, 민간과 지자체가 똘똘 뭉쳐 돌파구를 찾아왔다. 그렇게 시작한 사업이 군산형 일자리다.
군산형 일자리를 말할 때 또 빠지지 않는 말이, 양대 노총이 모두 참여한 첫 지역 상생형 일자리 사업이라는 점이다. 민주노총 총연맹뿐 아니라 전북지부도 군산형 일자리 참여에 반대했지만, 군산시지부는 군산형 일자리에 참여했다. 그만큼 절실했다는 것이다.
민주노총 군산시지부 최재춘 지부장의 발언에서도 절실함이 묻어있다. 지난 24일 열린 상생협약식에서 그는 “이 자리에 있는 이 순간까지 우리 민주노총 중앙과 지역본부의 우려를 뒤로한 채 간절한 군산 경제 극복을 위해 작은 힘이나마 보태고자 함께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산시민뿐 아니라 도민들은 “군산형 일자리는 꼭 성공해야 한다”고 말한다. 노·사·민·정, 지역사회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지자체도 협약 이후 후속조치에 나선다. 전북도는 28일 브리핑을 통해 전북 군산형 일자리 후속 조치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상생협의회 조직화 및 선진임금제도 도입, 수평적 계열화 방안 등에 대한 컨설팅, 완성차 업체 자체 플랫폼 구축 및 부품업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지원 등이 골자다.
올해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기업 협업체계 구축을 위해 전기차 관련 기업·배터리 업계, 전력회사, 연구계 및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전북 전기자동차 얼라이언스’도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미래 친환경 자동차산업으로의 전환에 따른 인력양성도 추진한다. 도내 대학교와 연계·협력을 통해 전기자동차 전문인력 양성, 전문학사 및 전문 R&D 인력양성 과정 개발, 현장실습 지원 등 전기자동차 산업 관련 인재양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전북 자동차산업을 친환경 자동차산업으로 체질을 개선해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초소형 전기자동차 사업’규제자유특구 지정도 추진한다.
하지만 지역 경제 회생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과제는 산적해 있다. 특히 실질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기차와 관련한 인프라뿐 아니라 R&D를 위한 인적 자원 유치도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중·장기적인 지원이나 계획뿐 아니라 현재 고통받는 군산 노동자를 위한 단기적인 방안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노사민정 실무협의회 서지만 위원장은 “현재 모든 지원이나 회생 방안들이 2022년 이후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현재 군산의 노동자들이 당장 먹고살 방법이 없다”며 “지원 내용도 크게 세금 혜택밖에 없는 상황이라 생색내기에 불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전기차 클러스터가 안정적이고 확고하게 자리 잡기 위해서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전기차 관련 연구개발은 클러스터가 마련된 곳(군산)을 찾아와 공동으로 연구개발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국가적 계획으로 향후 몇 년 동안 전기차 산업을 중점 육성하도록 하는 제도적인 장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끝>끝>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