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 핀테크·디지털 금융 중심지 도약 시동

금융위 혁신금융 정책기조에 맞춰 핀테크 집중 육성
금융벤처창업 지원, 국민연금 IT R&D센터와 연계 자산운용+핀테크 연구개발 강화
핀테크 금융특화 규제자유특구 등도 준비해야

전북도가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 기조에 맞춰 핀테크 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도는 최근 개소한 국민연금공단 IT R&D센터와 연계해 금융벤처창업을 지원하고 관련 신기술을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핀테크·디지털 금융산업 육성 성과는 제3금융중심지 지정 판도에도 큰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서울과 부산 등 기존 금융중심지들 또한 핀테크 육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핀테크(Fin Tech)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모바일 IT기술이 합쳐진 금융 서비스 산업이다. 예금이나 대출, 결제와 송금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가 IT 기술과 만나 은행 이용자들에게 보다 더 편리한 이용 방식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25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 9월 금융 벤처창업 6개사가 전북소상공인희망센터 내에 입주하며, 전북형 핀테크 사업이 시작됐다. 지난달 말에는 한국핀테크지원센터와 업무협약을 맺으며 기술지원 체계를 갖췄다.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핑거 등 인지도 높은 핀테크 기업이 참여하는 NPS+ IT R&D센터도 지난 6월 개소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과는 내년 1월 핀테크 사업 추진과 관련한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특히 전북은 향후 1000조 원 이상의 초거대 자금을 굴리는 기금운용본부와의 연계를 통해 세계 주요 금융사들과 핀테크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부산 등 금융 산업 경쟁지들 역시 핀테크에 집중하고 있어, 전북도 차원에서 차별화 된 핀테크 R&D인프라와 지원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산운용과 디지털 금융에 특화된 규제자유특구의 추가 지정에도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JB금융그룹 등 지역금융사의 전향적인 협조 또한 절실한 상황이다.

부산을 연고로 하는 BNK금융그룹은 금융중심지 관련 사업에 참여를 꺼리는 전북의 JB금융그룹과는 대조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BNK는 부산시와 핀테크 전문지원 공간인 ‘U-스페이스(U-Space)’를 개소했다. 부산시는 2021년까지 향후 3년간 U-스페이스 입주기업(36개사)에 임대료와 인건비를 지원(연 30억 원)할 계획이다. BNK금융그룹은 4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입주기업 등에 투자한다. 또 핀테크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BNK와의 협업 및 사업화 프로세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기금운용본부의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전북지역에 금융생태계가 빠르게 조성되는 가운데 전북의 향토 금융사인 JB금융의 역할론이 대두되는 배경이다.

김윤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전북 2026년 국가예산 ‘AI시대 에너지 실험도시’ 목표

정치일반전북도, 15일 전북대서 ‘올림픽 도시 포럼’

정치일반전북출신 황기연 수출입은행장 임명

법원·검찰‘이스타 항공 직원 채용 외압 혐의’ 이상직 전 의원, 항소심서 무죄

사회일반도내 10개 시·군 공무원 장애인 의무고용률 미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