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1 17:00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군산
일반기사

군산 문화시장, 제 기능 잃고 도심 흉물로

1983년 개설, 경기침체·인구유출 등으로 쇠퇴
90% 이상 폐점, 수년간 방치…우범지대로 전락

군산 문화동에 위치한 ‘문화시장’이 상인도 손님도 없이 적막감만 감돌고 있었다.
군산 문화동에 위치한 ‘문화시장’이 상인도 손님도 없이 적막감만 감돌고 있었다.

4일 오후 군산 문화동에 위치한 ‘문화시장’

전통시장이라는 말을 무색하게 사람들의 시끌벅적한 모습은 온 데 간 데 없고, 적막감만 감돌고 있었다.

수 십 개에 달하는 가게들은 하나같이 굳게 닫혀있었고, 두세 군데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이었다.

과거에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고 했을 법한 시장 내부는 각종 채소나 생선 등 물건 대신 쓰레기와 폐자재 등만 가득했다.

채소 장사를 하고 있는 한 할머니는“보다시피 상인도 손님도 다 떠났다”고 씁쓸해 했다.

37년의 전통을 지닌 군산 문화시장이 시장의 기능을 잃은 채 도심 흉물로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관계기관의 관리마저 부실하면서 청소년들의 흡연과 음주장소로 이용되는 등 우범지대로 전락하고 있다.

지난 1983년 개설 된 문화시장은 총 면적 3300 ㎡ 의 규모의 상가주택복합형 시장으로, 50~60개의 점포가 운영돼왔다.

이곳은 지난 2006년 12월 인정시장이 된 후 시장 활성화 차원에서 현대화 사업이 진행돼 공영주차장과 아케이드 시설 등이 설치되기도 했다.

그러나 경기침체 및 인구 유출, 대형마트 입점 등과 맞물려 이곳 시장이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90% 이상이 문을 닫았다.

한 때 시장이었다는 게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현재는 폐허로 변한 상태다.

실제 가게마다 셔터가 닫힌 채 오랫동안 방치된 모습이었고, 시장 골목마다 쓰레기와 먼지 등도 가득했다.

또한 아케이드 지붕도 뜯겨져 나가는 등 한낮인데도 을씨년스러웠다.

수 년 간 이 상태로 방치되다보니 주변 경관 훼손은 물론 청소년 탈선장소 및 화재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

문화시장 주변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밀집해 있는 가운데 청소년들이 담배를 피우기 위해 자주 이용하고 있다는 게 주변의 설명이다.

한 상인은 “아침 저녁으로 청소년들이 담배를 피러 많이 온다”며 “자칫 화재라도 날까봐 걱정되지만 무서워서 말도 못한다”고 말했다.

이곳에는 CCTV도 설치돼 있지 않아 범죄 및 안전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문화시장 철거 또는 새로운 공간 조성 등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이곳 시장 점포가 모두 사유재산이기 때문에 군산시 차원에서 시장을 폐쇄하거나 통제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문화시장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여러각도로 검토 중이지만 어려움이 큰 것도 사실”이라며“일단 청소년 탈선을 막기 위해 경찰 등과 함께 적극적으로 방범 및 예방활동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