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농가위기 극복 위한 민관 협치 시스템 가동
온라인 판매 강화·인력지원, 농촌관광 프로그램 추진
전북도가 추진하는 최우선 정책인 ‘삼락농정’이 포스트코로나19 사태에 촛점을 맞춰 농가위기 극복을 위한 민관 협치 시스템으로 전환된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농촌지역 일손이 크게 줄면서 농촌 일자리 창출은 물론 농촌에서 생산된 농산품의 판매루트를 최대화 시키겠다는 취지다.
전북도는 8일 송하진 도지사와 이상철 삼락농정위원회 민간위원장 등 47명의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삼락농정운영협의회를 열고 코로나19 사태로 변화된 농림축산식품분야 뉴딜정책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협의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사회’에 맞춰 지역 농산물의 온라인 판매 강화와 인력지원, 농촌관광 프로그램을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기로 목소리를 모았다.
주요 실행과제로는 거시기 장터 온라인 플랫폼 구축과 광역 푸드플랜 등이 꼽혔고 이들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 설명도 이뤄졌다.
삼락농정 비전은 ‘위기에 강한 농업, 지속가능한 농어촌 육성’으로 설정했다.
추진전략은 △농촌문제 △농축산업 △해양수산 △농식품 △제도개선 등 5가지 분야, 17가지 실행과제로 나눠 추진될 계획이다.
특히 역점 과제는 농촌인력 지원체계 안정화다. 또 오프라인 쇼핑을 대체할 수 있는 플랫폼 마련과 한·중국제여객선 손실지원, 외식업체 식재료 공급지원도 코로나19로 고통받는 농어민을 위한 주요 시책으로 선정됐다.
제도개선 분야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채용범위 확대허용과 학교개학연기 등에 따른 학교우유급식 지원방안 개선이 꼽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