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 쌀값이 오르며 농가 안정에 대한 기대가 높지만 농민들의 체감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농협중앙회와 통계청에 따르면 산지 쌀값(정곡 20㎏ 기준)은 5만4327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4만7534원보다 14.3% 높고, 평년 4만1120원 대비 24.3% 높은 가격이다.
이 같이 쌀값이 오른 이유는 올해 긴 장마와 태풍 등 피해로 쌀 생산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전북지역 쌀 생산량은 55만6000여 톤으로 지난해 60만5000여 톤보다 8.1% 줄었다. 전국적으로는 350만7000여 톤이 생산돼 지난해 374만4000여 톤 대비 6.4% 감소했다.
앞서 정부는 줄어든 쌀 생산으로 정부쌀 37만 톤을 수확기 이후 순차적으로 시장에 풀기로 했다. 기상 악화로 줄어든 생산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할 거라는 판단에서다.
쌀값이 오르자 지역에서는 농가 경영 안정에 도움될 거라는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농민들은 오른 쌀값에 따른 수익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가격이 상승했지만 줄어든 수확량에 수익 실현이 안 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이달 말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정부 공공비축미 수매 가격이 적정하게 책정되면 지역 농가도 웃을 수 있다는 평가다.
전주시농민회 한 관계자는 “현재 쌀값 상승은 생산량이 줄어든 것에 대한 반작용이다. 값이 올랐다고 해도 실제 농가 수입에는 큰 변화가 없다”라며 “현재 시장 상황이 농가에 도움이 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판단이 어렵다. 정부 공공비축미 수매 가격이 정확히 나와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행정당국은 현재 상승한 쌀값이 농가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다. 다만 현재 쌀 시장 상황이 농가 안정을 확신할 수 있는 척도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전북도 농산유통과 관계자는 “지금처럼 가격이 지지되지 않았다면 지역 농가가 무척 힘들어졌을 것이다. 생산이 많이 줄었기 때문에 쌀값까지 떨어진 상황은 생각하고 싶지도 않다”면서 “연말에 정부가 수매 가격을 책정할 것으로 보이는데, 평년보다 많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