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운용사 모집 공모에 참여 희망 업체 한 곳도 없어
펀드 조성액 60%이상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의무투자... 걸림돌
투자 전문가, “지역 내 의무투자 비율 하향 조정 방안 검토해야”
군산시가 지역 내 중소벤처기업을 살리기 위해 꺼내든 ‘군산 혁신성장 공공펀드(가칭 군산형 펀드 1호)’ 조성 사업이 출발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최근 진행한 펀드 운용사 모집 공모에 참여를 희망한 업체가 한 곳도 없어, 펀드 조성 자체가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군산 혁신성장 공공펀드’는 공·민간 협력을 통한 공공주도형 펀드로서, 지역 내 중소·벤처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는 동시에 경쟁력 있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해 9월 ‘중소기업육성기금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및 시행규칙’을 일부 개정하고, 같은 해 11월 군산시 투자심의위원회를 구성한 바 있다.
아울러 펀드 조성 방향 수립과 모태펀드 및 민간투자자 등 재원 확보 능력이 우수한 운용사를 공모하고 나섰지만, 단 한 건도 접수가 이뤄지지 않았다.
군산시가 제시한 조건 중 펀드 조성액의 60% 이상을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의무 투자해야 한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펀드 투자 흐름은 지자체가 투자하는 금액(출자금)의 2배를 투자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지만, 군산시가 제시한 조건이 과하며 운용사가 40%만 가지고 펀드를 운용하기에는 수익 발생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는 조만간 2차 공모를 통해 운용사를 재모집하고 운용사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의무투자 비율을 조정해 새롭게 공모를 진행하는 방향을 검토 중이다.
벤처투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군산시가 제시한 60% 이상 투자 조건은 운용사들이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으로 통상적인 투자 조건을 참고해 의무투자 비율을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군산시 관계자는 “펀드가 조성되면 지역 내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공공부문의 투자기능이 강화될 뿐 아니라 기업 유치 및 일자리 창출 등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면서 “2차 공모를 통해 펀드 조성 역량과 전문성 있는 운용사가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군산 혁신성장 공공펀드’ 운용사로 선정되는 업체는 내년부터 오는 2028년까지(4년 투자·4년 회수) 150억 원 규모(모태펀드 90억 원, 군산시 30억 원, 금융기관·대학·기업·운용사가 포함된 민간 30억 원)의 혁신성장 펀드를 조성해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