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는 벼 출수기 전후 병해충 발생 및 확산방지를 위해 병해충 방제와 폭염 장기화에 따른 피해 예방 등 농작물 관리에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했다.
군산시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도열병이 발생한 이후, 태풍 등에 의해 널리 퍼진 병포자가 월동하면서 국지성 소나기로 인해 거름기 많은 논, 2모작 논 중심으로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다.
방제에 소홀할 경우 이삭도열병으로 전이돼 쌀 수량 감소와 미질저하에 영향을 끼치므로 발생 초기에 등록 약제로 철저하게 방제해야 한다.
또한 고온 다습 환경에서 밀식 재배할 경우 잎집무늬마름병 발생이 많아지기 때문에 발병 포기율이 20% 정도 발생된 논은 출수전 5~10일전으로 방제해야 발생률을 경감시킬 수 있다.
중국으로부터 비래하는 혹명나방 · 이화명나방 등 주요 해충방제도 필수적이다.
채행석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출수 전 후 병해충 종합방제를 통해 20~30%정도의 수량감소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며 “종합방제와 더불어 폭염 장기화로 인해 논 물 걸러대기 및 물관리에 특히 신경 써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