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통시대 교육의 중추역할을 맡아 인재를 양성하고 배출한 곳으로 알려진 향교.
그중 남원향교는 올해로 8년째 살아숨쉬는 향교·서원 문화재활용사업을 계획해 각종 프로그램을 102회 추진, 1462명이 수강 중이다.
해당 사업을 통해 남원향교는 사업 주제를 ‘향교에서 만난 군자, 바로 ~you’로 정하고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국궁, 투호, 한궁, 부채체험 등 청소년기 인내력과 집중력을 기를 수 있는 체험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인성이 부족하고 대화를 하기 힘든 사회적 현상을 고려해 새로운 전통예정교육으로 유복을 입고 유생이 되는 순간은 학생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또 소리문화의 고장이라는 남원지역 특성을 살려 우리소리체험을 통해 심미력 함양 등에 기여하고 문화유적탐방으로 문화재의 중요성과 자긍심을 고취시킨 계기도 조성했다.
성인을 대상으로는 명륜당의 공간을 활용해 문인화교실, 노약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요가교실, 국립민속국악원의 협조로 ‘명륜당풍류’라는 국악공연도 선보였다.
향교 주변에 거주하면서도 쉽게 접하기 못한 ‘마을주민 사랑방’을 운영해 주민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은 지역민에게 호평을 받기도 했다.
코로나19 속에서도 우리문화 보존과 계승을 위한 문화행사와 전통예절교육, 청소년 인성교육 등 자체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특히 서예교실은 다수의 작가를 배출할 정도로 우수성을 보이고 있다.
남원을 대표하는 지역 행사인 춘향제는 춘향 본선진출자 예절교육을 전담하며 지역의 예절의 고장으로 알리고 있다.
인근 만인의총과 교통산성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관광에도 크게 역할을 제공하며 관광객은 물론 지역 유치원생부터 노인까지 향교를 찾는 발길을 이어지고 있다.
남원향교 관계자는 “향교에 다가가기 꺼려하거나 가까이 있어도 멀어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웃음소리가 그치지 않는 향교로 거듭나기 위해 ‘살아 숨 쉬는 향교로’ 변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