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3:10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이경옥 동화작가-김헌수 '마음의 서랍'

image
김헌수 '마음의 서랍' 표지 /사진=알라딘 제공

가끔 친정어머니나 시어머니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되살아날 때가 있다.

“내가 살아온 걸 책으로 쓰면 수십 권은 된당게.”

그분들의 삶이 얼마나 고단했을지를 속속들이 알 수는 없지만, 겉으로 말하지 않은 혼잣말들이 가슴 속을 떠다닐 것이다. 누군가는 이 혼잣말들이 모인 곳을 마음속의 서랍이라고 지칭했다. 그러면서 손을 내밀었다. 손을 잡고 따라오라고.

김헌수 시인이 《마음의 서랍》이라는 시화집을 냈다. 늘 실험적인 작품을 선보이는 시인이 이번에는 ‘필사 펜드로잉 시화집’을 세상에 던졌다. 독자들의 꽉 묶인 마음의 실타래를 시인의 발걸음을 따라 필사하면서 풀어내도록 유도하는 듯하다. 살아가면서 하고 싶은 말을 다 하고 사는 이들이 얼마나 될까? 어쩌면 말하지 않고 꼬깃꼬깃 무의식 속에 말을 쟁여놓는 게 오히려 마음 편할 때가 많은 우리 삶이다. 

시인을 따라가다 보면 말의 빗장을 마음껏 열 수 있게 한다. 시집은 네 개의 서랍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서랍마다 향기가 다르다. 첫 번째 서랍을 열어보니, 봄이 오면 삶의 눅눅한 것들을 햇볕에 말리라고, 터무니없이 견딘 세월을 내보이라고 손짓한다. 시인은 스스로 단어와 문장을 창밖 빨랫줄에서 견디게 해야 한다며 먼저 시범을 보여준다. 

<새털구름 같은 마음>

우울한 시절을 건너가는 요즘,/ 짱짱한 햇빛 아래 마음을 널어두고 싶어요 

<내 안의 촉수>

은근한 삶을 산다는 것,/ 불편을 감내하는 일을 훌훌 털어버리는 것,

<겨울은 늘 그렇게>

흰 눈이 바람과 달려들어/ 겨울을 갉아 먹고 있어요/ 쌓이기 때문에/ 머무를 거라고 믿는 것들은/ 차가운 뿌리가 축복처럼 젖어들어도/ 다시 꽃 피는 봄을 데려오기 전에는/ 좀 더 일찍 가당찮은 희망을 품고 있어요/ 매일 다른 얼굴을 보여주는/ 겨울은 늘 그렇게

서랍 안에는 자신의 시간만 있는 게 아니어서 당신들의 생각으로 온종일 채웠던 시간도 켜켜이 쌓였으므로, 이제는 훌훌 털어버리라 한다. 시인의 삶이 단어와 문장 틈 사이로 엿보이는 구절들이다. 그렇게 서랍 안에 나와 당신들을 묶어두었던 삶을 먼저 풀어버렸다. 

두 번째 서랍을 찾아 열었다. 서랍 안에서 유독 사람을 찾는다. 사무쳐 오는 이름들을 부르고 있다. 바다에서, 역에서, 비가 내리는 날에, 이국적인 ‘이호테우 해변’에서. 그러다가 서걱거리는 연필을 붙잡고 너가 아닌 나를 위해 살겠다고 아우성쳐보기도 하지만 결국 사무치는 것들의 이름을 껴안는다. 

사람 안에서 살기 때문에, 모든 희로애락의 근원이 사람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모든 걸 잊고 싶어 하며 훌훌 털어버리려고 하지만 사람을 떠날 수 없음을 확인한다. 시인은 삶 속에서 숱한 다짐을 하며 서랍을 열었지만 결국 사람과 함께 할 수밖에 없는 마음을 어쩌지 못한다. 

<바다를 가고 싶다는 말을 자주 했지>

사는 데 필요한 인연은 많지 않아도 된다고/ 죽음처럼 외롭게 사는 거라고/ 몰래 다녀가면 아프지 않을 테니까/ 사랑도 그랬으면

<이호테우 해변에서>

바다의 널따란 기운이/ 모든 상황을 채워줄 거라 믿었지

사람을 비켜내고 수많은 것들을 대상화하며 안심했지만 사람 안에는 사람이 들어와야 살아갈 수 있음을 힘없이 툭 던진다. 

세 번째 서랍은 ‘그리움’이 가득 차 있다. 시인의 완숙된 삶 속에서 지나간 것을 꺼내 결국 <그는>이라는 선명하고도 입체적인 서랍 속을 보여준다. 지면상 전문을 실을 수는 없다. 하지만 세 번째 서랍 안의 <그는>은 모든 사람의 마음에 하나쯤 있을 거라고 여긴다. 우리 대신 시인이 <그는>을 데려왔다. 

네 번째 서랍은 독자들이 찾아서 읽기를 권하며, 한 줄 시로 대신한다.

당신과의 원거리를 보기 위해 현미경을 들여다봤지   <낡아가는 당신과 나의 거리> 중에서

 

△이경옥 동화작가는 2018년 전북일보 신춘문예에 <두 번째 짝>으로 등단했고 2019년 우수출판콘텐츠제작사업, 2022년 전북문화관광재단예술지원사업에 각각 선정됐다. 저서로는 <달려라, 달구!>, <집고양이 꼭지의 우연한 외출> 등이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경옥 동화작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