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위, 전북대 국감…"신입생 충원 문제, 외국인 유학생 유치로 해소"
최근 3년간 중도탈락 3042명 전국 3번째… "지역내 우수 산업체 이전 절실"
17일 국회 교육위원회의 전북대, 전남대, 제주대 국정감사에서는 지방 거점국립대의 위기에 대해 한목소리로 우려를 표명하고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의원들과 대학 총장들은 지방 거점국립대가 위기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대학 경쟁력 강화 대책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 도종환 의원은 저출생 등에 따른 학령 인구 감소로 지방대학이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신입생 충원율 문제에 대한 중장기적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수도권대학과 지방대학간의 학생 1인당 교육비 격차의 심각성을 언급하며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도 의원에 따르면 전북대의 최근 5년간 기부금은 179억 1900만 원으로 거점 국립대학 중 제주대에 이어 가장 낮았으며 학생 1인당 교육비는 2140만 원으로 여섯 번째로 적었다.
도 의원은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학들이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는데, 신입생 충원 계획이 어떻게 되느냐"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전북대는 현재 99.8%가 충원됐으나 매년 (학생 모집이) 어려워지는 것은 사실이다"며 "가급적 글로벌 외국인 유학생을 많이 유치하려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학 경쟁력을 향상시켜서 명문학교로 만들고 우수한 학생들이 수도권에서 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도 의원은 "전북대 장학금 현황이 전국 6위로 학생 지원과 투자가 늘어나야 한다"면서 "교육부와 국가차원의 국립대 무상교육 추진에 대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 총장은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눠 보면 '좋은 산업체가 지역에 와야 정주하겠다'는 요구가 제일 많다"면서 "전북지역에 산업체들이 좀 더 많이 올 수 있도록 수도권에 집중된 첨단산업들이 지역에도 정착할 수 있도록 의원님들께서 도와 달라"고 호소했다.
전북대학교에서 자퇴 등을 통해 대학을 그만두는 중도 탈락 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전북대의 중도탈락생은 최근 3년간 3042명으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의원이 제시한 '최근 3년(2020~2022)간 지방거점국립대 중도 탈락 학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10개 지방 거점국립대의 중도탈락 학생은 총 2만 5179명으로 집계됐다.
지방 거점국립대 중 중도 탈락 학생은 경북대(3469명)가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대(3101명), 전북대(3042명), 충남대 (2618명), 경상대 (2567명), 강원대 (2540명), 전남대 (2448명), 제주대 (2184명), 충북대 (2076명), 서울대 (1134명)의 순이었다.
특히 공과대학, 자연대학 등 이공계 이탈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공과대학이 6966명, 자연과학 3527명, 인문대학 2289명, 경상대학 2189명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학과별로는 전북대도 공과대학이 1000명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서동용 의원은 "전체 중도 탈락 학생 중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 이공계 학생의 비율이 전체의 41%로 가장 많다"면서 "심각한 것은 대학을 육성하기 위해 개설한 첨단산업학과의 경우 정원을 증원했는데도 이에 따른 중도 탈락 학생이 많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결국 지역 산업 성장의 경쟁력이 약화한다는 것이 문제"라면서 "이공계 분야의 학생들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 정부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해달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양 총장은 "수도권에 집중된 첨단 산업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의원들이 좋은 입법을 해주면 좋겠다"며 "과학 기술인들은 55세면 은퇴하는 데 노후 대책이 없다. 이와 관련한 우대 정책이 있어야 한다"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