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6:05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황지호 소설가. 황보윤 ‘광암 이벽’

image
광암 이벽 표지/사진=교보문고 제공

이벽(李檗 1754 ~ 1785)은 선교사가 없던 조선에서 스스로 천주교에 입교한 양반이다. 소현세자를 보필했던 6대조 할아버지 이경상이 ‘아담 샬’로부터 선물 받은 서적을 읽으며 믿음의 씨앗을 품었다. 정약전 정약용 형제 등과 ‘천진암’에 모여 천주학을 연구하고 교리를 익혀 씨앗을 신앙으로 발아시켰다. 이승훈을 설득하여 북경의 천주교회에 다녀오게 한 뒤 그에게 세례를 받아 온전한 꽃이 되었다. ‘명례방’에서 그 향기를 멀리 퍼뜨렸으나 오래가지 못했다. 배교하지 않으면 목을 매어 죽겠다는 아버지의 뜻에 좌절하다 열병에 걸려 낙화했다. 1785년 봄이었다. 그 봄부터 100년 동안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었다. 이후 수많은 꽃이 이벽이라는 구근에 의지해 피었다가 졌다. ‘광암 이벽’은 그런 이벽의 삶을 담담하고 정연한 문장으로 그린 소설이다. 잔잔한 서사를 채우는, 가을 물 같은 서늘한 문체는 믿음의 산물처럼도 느껴진다.

출간되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주문한 책은 다음 날 오전에 도착했다. 급한 일들을 미루고 찬찬히 일독했다. 이벽은 낯설었고, 역사 소설을 즐겨 읽지 않으며, 천주교는 먼 종교였던지라 더디 읽혔다. 더욱이 우리 집안은 대대로 토테미즘 비슷한 것을 믿어 감정이입이 쉽지 않았다. 어머니께서는 무병과 장수를 기원한다며 아들들이 태어날 때마다 마을 동쪽 커다란 바위에 양자로 팔았다. ‘무당’도 아니고 ‘박수’도 아닌 ‘바위’에게 아들들을 팔아넘겼던 것이다. 열 살 때, 막내아들인 내가 소에게 손목을 밟히자 ‘우마신’을 달랜다며 떡 한 말을 해서 외양간 기둥에 바치기도 했다. 그런 부모 밑에서 자라며 평생 성당 근처에는 가보지도 않았고 지금은 불교를 믿고 있으니 더디 읽힐 만했다. 그런 내가 머뭇거림 없이 책을 주문하여 일독한 이유는 첫째가 황보윤 소설가 때문이고, 둘째가 그 무렵 물고 다녔던 ‘처음 혹은 두려움’이라는 화두 때문이었다. 

지난해 가을, 어떤 강연이 끝나고 소설가 여럿이서 밥을 먹은 적이 있다. 그 자리에 황보윤 소설가와 동석을 했다. 육회비빔밥 전문점이었는데 메뉴판을 보며 한동안 머뭇거리던 그녀가 비빔밥을 시키며 고기를 빼달라고 청했다. ‘비건’이었거나 다른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나는 갈비탕에 고기를 좀 듬뿍 넣어달라고 비굴하게 웃으며 주문을 했다. 맛있게 갈비를 뜯는 나를 보고는 고기를 빼달라 주문한 것을 후회하는 눈치였다. 덜어주면 될 것을 괜히 그랬다며 퍽 미안해했다. 그 연한 말이 질긴 갈비로는 채우지 못할 헛헛한 곳에 담겼다. 헤어지면서 전화번호를 교환했다. 좋은 날 차를 한잔 마시자고 약속을 했는데 지금까지 만나지 못했다. 처음엔 첫눈이 오기 전에 연락드리겠다며 내가 먼저 약속을 깼고 다음엔 벚꽃이 지기 전에 소식을 준다며 그녀가 약속을 깼다. 다시 만날 날을 정했으나 여름이 가기 전에 연락드리겠다며 내가 또 약속을 깼고 마지막엔 그녀의 다리가 부러져 약속이 깨졌다. 첫눈이 오기 전에 만나기로 했는데 지킬 수 있을지 모르겠다. 서리가 내릴 것만 같은데. 그렇게 스스럼없이 깨진 약속들이 누이 같은 사람을 가져다주었다. 밥 안 사 주는 누이, 그녀의 책이어서 머뭇거림이 없었던 것이다.

‘광암 이벽’을 읽을 무렵 작가의 길, ‘길 없는 길’을 가는 두려움에 대해 자주 생각했다. 작가라는 존재는 아무도 다녀오지 않은 ‘곳’을 다녀오는 존재고, 다녀온 그 ‘별’ 같은 곳을 향한 나침반을 조각해 내는 것이 도리인데 내 사유와 문장은 그런 역량을 갖추지 못했다고 서러워할 무렵이었다. 가끔, 김시습의 시 ‘도중’이 생각나기도 했다. 눈 내리는 저녁 지평선을 향해 외로이 길을 떠나는, 가난한 나그네의 두려운 심정을 가늠하곤 했다. ‘머뭇’ 했으나 뒤돌아보지 않고 의연히 길을 나섰던 나그네. 이벽이 그랬으리라. 그녀가 그랬으리라.

황지호 소설가는

2021년 전북일보 신춘문예 소설 부문으로 등단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벽 #광암 #역사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