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5:44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장은영 작가- 김순정 '불평등을 수거해 드립니다'

image
불평등을 수거해 드립니다 표지./사진=교보문고 제공

오랫동안 아이들과 만나면서 성별과 관련한 불만을 듣곤 했다. 예를 들면 ‘아이돌 콘서트에 가려고 하는데 부모님이 여자애가 어딜 가냐고 반대한다.’ ‘세뱃돈 금액에도 남녀 차별이 있다.’ ‘요즘에는 여자애들이 힘도 더 세고 드세서 남자애들이 기를 못 편다.’와 같은 것들이다. 아이들 이야기를 들으며 우리 사회 곳곳에 드리워진 성 불평등의 그림자를 느낄 수 있었다.

<불평등을 수거해 드립니다>는 다섯 명의 작가가 다섯 가지의 성 불평등 사례를 소재로 쓴 동화책이다.

김순정 작가의 ‘남자라서 억울해’는 남자라서 역차별을 당한다는 웅이 이야기이다. 웅이는 선생님이 힘든 일은 무조건 남자만 시키고, 같은 잘못을 저질러도 남자는 더 크게 혼낸다고 생각한다. 웅이는 ‘남자라서, 여자라서’가 아닌, 그냥 나로 살아가는 세상을 꿈꾼다.

김완수 작가의 ‘내 이름은 깜상’의 주인공 소미는 “기집애가 무슨 축구냐”, “축구가 얼마나 거칠고 힘든 운동인데”, “우리나라에서 어디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 대접이 같냐”라는 걱정과 우려를 뚫고 축구부에 들어간다. 처음엔 여자라고 놀리고 따돌리던 친구들은 소미의 실력을 보고 같은 팀의 일원으로 인정해준다. 

정광덕 작가의 ‘아빠는 주부 백 단 가수왕!’은 전업주부인 아빠를 둔 호겸이 이야기이다. 호겸이는 너희 아빠 백수냐고 놀리는 같은 반 친구 민호 때문에 짜증이 난다. 하지만 엄마보다 음식을 잘하고, 자전거 타기나 캐치볼을 함께 해주며, 집안일과 장보기를 잘하는 아빠가 살림하는 게 맞다는 합리적인 결론에 이른다. 아빠가 앞치마에 고무장갑을 끼고 프라이팬까지 들고 노래자랑에 나오자 호겸이는 ‘아빠는 주부 백 단 가수왕!’이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열렬히 응원한다.

정유진 작가의 ‘용감한 오! 기사’에는 시내버스를 운전하는 엄마를 둔 봄이가 나온다. 봄이 엄마는 여자라는 이유로 학교를 제대로 다니지 못했고 유일한 아들인 남동생을 돌봐야만 했다. 봄이는 그런 엄마가 운전하겠다고 했을 때 처음엔 찬성했지만, 손님이 엄마에게 막말하자 반대한다. 하지만 상가 화재를 막는 엄마를 보며 엄마의 삶을 응원한다.

윤형주 작가의 ‘수영선수 에리얼’은 권위적인 남편과 살면서 혼자서 육아와 교육, 살림살이에 지쳐간다. 그런데 수영왕을 뽑는다는 광고를 보고, 대회에 참가해서 1등을 한다. 에리얼은 수영선수라는 자기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성별에 따른 차별과 억압이 아니라 차이에 대한 인식과 존중이 이루어지는 세상이다. 그래서 있는 그대로 나를 인정하고 배려해주는 사회가 되기를 바란다.

이 책에는 각각의 작품과 관련한 성평등에 관한 생각거리를 질문하고 있다. 교실에서, 가정에서 아이들과 함께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아보면서 성평등에 대한 인식을 바꿔보는 것도 좋겠다.

장은영 동화작가는

전북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통일 동화 공모전과 이다 생명문화 출판 콘텐츠 공모전에서 상을 받고(공동수상), 전북아동문학상과 불꽃문학상을 수상했다. 2022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발표지원)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책 깎는 소년>, <으랏차차 조선 실록 수호대>, <열 살 사기열전을 만나다>등이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불평등 #성평등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