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 개선 본격화..서민행보.소통 강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22일 오전 열린 청와대수석비서관 회의는 '새출발'을 다짐하는 자리였다.
전날 신임 검찰총장 및 국세청장에 대한 파격 인선으로 국정변화의 '신호탄'을쏘아올린 데 이어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국정쇄신과 관련한 여러 논의에 대해 이 대통령과 수석들의 허심탄회한 의견 개진이 이어졌다.
이날 회의는 먼저 국정쇄신과 관련, 이른바 PI(President Identity.대통령 이미지) 강화 방안에 대한 논의로 시작됐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전했다.
참석자들은 현 정부 출범후 서민대책을 강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 서민에대한 배려가 소홀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이미지 홍보 부족이 한 원인이라고 보고 '친(親)서민 행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법치를 흔드는 행동에 대해서는 원칙에 입각한 단호한 대처를 해야 한다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자들은 아울러 정치권, 종교계, 언론계 등 여론 주도층과의 회동을 통해 이대통령이 소통을 강화하고 정치를 복원해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서민 뿐만 아니라 30,40대 샐러리맨 등 다양한 계층과 스킨십을 강화하기위해 적극적으로 현장을 찾아가야 한다는 건의도 있었으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방안을 마련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동관 대변인은 PI 강화 방안과 관련, "만기친람(萬機親覽. 임금이 모든정사를 친히 보살핌)형, 나열망라형에서 선택과 집중, 선제적 대응 쪽에 중점을 둬서 하자는 취지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이날부터 대통령이 주재하는 수석회의를 수요일에서 월요일로 앞당긴 것과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정국의 주요 이슈와 정책현안을 선점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한 참모는 전했다.
일각에서는 또 이 대통령이 최근 언급한 '근원척 처방'과 연결시켜 분권형 대통령제를 의미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내놓고 있어 주목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만성적인 국회 공전과 이로 인한 민생법안 처리 지연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이 대변인은 "참석자들은 비정규직법을 비롯해 녹색성장기본법, 미디어 관련법등 시급한 민생관련 경제살리기 법안들을 빨리 처리해야 한다는 걱정이 많았다"면서"그러나 국회 운영은 당에서 책임을 지고 있는 만큼 당에서 역할을 해줘야 한다는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특히 미디어 관련법과 관련, 참석자들은 여야의 대표가 합의했던 대국민 약속이라는 점에서 여론조사 등을 이유로 야당이 처리를 거부하는 데 대해 우려를 표시한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변인은 "최근 논의되는 여러 쇄신방안에 생산적 국회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하는 내용도 포함돼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최근 한 신문 사설에 '4월에 미루고, 5월에 놀고, 6월에 싸움터가 돼선 안된다'는 게 있었는데 이것도 회의석상에서 언급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