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1:21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chevron_right 교육일반
일반기사

[NIE] 새해 설계

경인년 아쉬움 접고 더 밝은 신묘년으로

우리나라 대표 해맞이 명소인 정동진에서 새해 첫 일출을 바라보며 한해의 소망을 기원하는 사람들. (desk@jjan.kr)

신묘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밝고 건강하고 희망찬 한해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모두 지나간 1년을 되돌아보고 새해를 설계해봅시다.

 

▲우리나라에서 일출과 일몰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 충남 당신의 왜목마을 - 1년 중 180일 넘게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는데 태양이 장고항 틈 사이로 오르는 1월과 국화도 위로 뜨는 7월이 최절정이다.

 

* 서천군 비인만의 마량리 - 11월부터 2월 중순까지 일출을 볼 수 있으며 동짓날을 전후해서 동남쪽에서 뜨는 해가 장관이다.

 

* 간월암 - 간월도 남당리 안면도에 둘러싸인 간월암 또한 일출과 일몰을 모두 볼수 있는데, 특히 안면도 쪽으로 지는 일몰이 압권이다. (2010-12-31 대전일보)

 

▲토끼와 관련한 고사성어들을 알아보세요

 

토사구팽(兎死狗烹) : 토끼가 잡히고 나면 충실했던 사냥개도 쓸모가 없어져 잡아먹게 된다는 뜻으로, 곧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

 

토사호비(兎死狐悲) : 같은 무리의 불행을 슬퍼함을 이르는 말

 

토영삼굴(兎營三窟) : 토끼가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세 개의 굴을 파 놓는다는 뜻

 

▲새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비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여러가지 새해 덕담을 모아보고 자신도 어른이 되었다고 가정한 후 아이들에게 하는 덕담을 해보세요

 

* 올해는 토끼처럼 깡총하고 뛰어봅시다. 깡총뛰면서 오대양 육대주를 누벼봅시다. -'아이들과 미래'송자 이사장-

 

* 신묘년 새해는 묵은 업장 소멸되고 모든 이들에게 부처님의 자비와 사랑, 평화가 깃들기를 바란다. -마곡사 주지 원혜스님-

 

* 많은 사람들에게 용기와 도전정신을 불어넣는 새로운 삶의 모델이 되기를 -이기수 전남일보 기자-

 

* 모두가 올 한해 건강하고 좋은 일들만 있길 바란다. -이강수 고창군수-

 

* 모든 사람이 걱정없이 자신의 꿈과 희망의 날개를 펴는 한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 임영수작가-

 

▲아마 새해 들어 새 다짐을 했을 거예요. 그 새 다짐들을 소개해보세요

 

▲새해에 꼭 이루기를 바라는 것이 있나요? 무엇인가요?

 

▲지난 해 세운 계획 중 이루지 못한 것이 있나요? 그 이유를 설명해보세요.

 

▲2010년 동안 일어났던 일 중 우리나라의 가장 큰 사건은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그 사건이 새해에 잘 풀릴 수 있기를 바라는 기원문을 작성하세요.

 

▲새해에는 이런 기사가 많이 실렸으면 하는 바람이 있나요? 소개해보세요.

 

▲2011년 우리학교를 빛낼 인물이 누구일까요? 그 이유도 설명하세요.

 

▲대형 유통업체나 백화점 카드사 등에서 신묘년 토끼 이벤트를 마련하고 있어요. 각각의 사례들을 모은 후 교환하고 자신만의 이벤트를 기획해보세요.

 

▲'새해 우리가 소망하는 것들'을 모둠별로 10개씩 만들어 발표하세요

 

▲새해 결심을 작심삼일(作心三日)하지 않고 끝까지 이뤄낼 수 있는 비결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말하세요.

 

▲토끼와 거북이의 우화를 재해석하고 재해석한 내용을 발표하고 토론하세요.

 

▲2010년 우리에게 가장 큰 충격을 준 사건은 북에 의한 연평도 포격사건일 것입니다. 이에대한 반응으로 남북관계가 파탄에 이르게 될 정도까지 치달았습니다. 연평도 포격사건이 일어나게 된 배경을 분석하고 평화로운 남북관계로 되돌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논술하세요.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