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1 00:54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다시쓰는 전북 기업사
일반기사

[다시쓰는 전북 기업사] 페이퍼코리아③고려제지 비약적 성장

정부 제지업 부흥정책 발판, 신문용지 시장 '독무대'

고려제지 군산공장이 당시 도입한 새로운 초지기. (desk@jjan.kr)

북선제지 군산공장을 불하받은 김원전씨와 우자형씨는 초장기 3년간은 명콤비가 돼 상호를 고려제지주식회사로 변경하고 사세 확장에 치중했다.

김씨는 상장으로 있으면서 군산에서 생산에 전념했고 우씨는 부사장으로 서울사무소에서 판매와 자금 조달 책임을 맡았다.

그러나 두 사람의 동업관계는 불과 몇 년만에 끝나고 김씨가 1인 경영체제로 회사를 이끌어나갔다.

두 사람의 결별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회사 경영과정에서 서로 의견 차이로 갈등이 쌓이면서 우씨가 새로운 제지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결별했다는 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고려제지 군산공장이 도입한 새로운 초지기를 운반하고 있다. (desk@jjan.kr)

 

이를 뒤받침하는 것으로는 김씨가 금전적으로 아무런 투자를 하지 않았던 종업원들에게 근로에 대한 보상으로 주식을 분배해 자신의 우호세력으로 삼은 뒤 회사 경영문제로 우씨와 의견 대립시 종업원들의 지지를 얻어 우씨의 주장이 묵살하면서 공동경영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 우씨가 김씨와의 관계를 끊었다는 것이다.

고려제지는 김씨와 우씨의 불협화음으로 한 때 홍역을 치르기고 했지만 정부의 제지공장 부흥계획에 힘입어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했다.

실제 정부의 1954년도 제지공장 부흥물자 공급계획표에 따르면 군산공장과 삼덕제지 및 신흥제지공업 등 3개 제지회사 부흥 및 시설소요자금으로 32만6824달러가 배정됐고 이중 군산공장에 전체 배정액의 63.2%인 21만 3000달러가 배정됐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정부가 신문용지 생산공장인 군산공장을 얼마나 중요시했는지 유추할 수 있다.

1953년 신문용지 소비량이 13만752t으로 전년대비 55% 증가하는 등 국내 지류 수요가 가히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당시 신문용지를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던 군산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고작 5400t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 덕에 군산공장은 1958년말 기준 연간 생산능력이 1만 2000t으로 증가했다. 여기에는 모두 42만8369달러가 투입됐다.

이에 따라 한때 20%대에 머물러 있던 국내 신문용지 자급률은 고려·삼풍·대한 등 신문용지 생산 3사의 보수 및 신설공사 완공과 함께 1959년부터 60%대로 크게 향상됐다.

정부의 제지업 육성책은 자유당정권 몰락과 민주당정권 붕괴, 군사혁명정부 등장 등 격변의 시기였던 1960년대에도 계속됐다.

그 것은 혁명정부가 제조업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사업에 포함시켜 정책적으로 지원했기 때문이다.

고려제지도 이에 힘입어 시설 보수를 통한 증산계획을 추진했다.

1958년 말 기준 1만2000t의 연간 생산능력을 1962년에는 1만7000t, 63년에는 2만t으로 제고시킨다는 청사진을 마련했다.

독무대나 다름없던 국내 신문용지 시장에 삼풍과 대한제지가 참여하면서 생산능력 제고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발등의 불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고려제지의 10여년에 걸친 제1호 초지기의 복구 및 개보수사업은 마침내 1966년 연간 생산능력 2만t을 갖추면서 일단락됐다.

1953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그동안 총 76만6300달러가 투입됐다.

회사가 비약적인 성장을 한 고려제지는 사세를 더욱 확장하기 위해 1965년께 군산에 소재한 풍국제지를 인수하면서 신문용지 외 편면지 공장까지 거느리게 됐다.

이후에도 신문용지와 관련없는 동원탄광을 비롯해 어류앙식업체인 부간산업과 특수광물수출업체인 수중광업, 어류수출업체인 한양수산 등 여려 회사를 인수하면서 몸집을 불려나갔다.

하지만 지류제조업으로 출발한 고려제지가 동일계열인 풍국제지를 인수한 것은 이해되지만 탄광업과 수산업까지 문어발식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면서 스스로 쇄락의 길을 자초하고 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현규 kanghg@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