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논술] 교사 총평

이번 논제는 우리 사회의 병폐로 인식되는 학연?지연?혈연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예전 같으면 '개천에서 용 난다'라듯 자신의 능력과 노력으로 성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할어버지의 재력, 아빠의 능력, 엄마의 정보력이 자식을 성공시키는 3가지 요소라고 한다. 이러한 현실 상황 속에서 기능론과 갈등론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문제지만, 현재 우리 사회에서 극복해야 할 사회 약극화의 한 현상이기에 자신의 비판적 의견을 제시하여야 한다.

 

▲ 제시문에 대한 이해 분석력

 

〈자료3〉은 혈연, 학연 등을 악용하여 자식을 성공시키는 사례이다. 이것을 토대로 기존의 기능론과 갈등론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해야 한다. 민용이는 〈자료3〉의 현실 상황을 통해 〈자료1〉의 기능론은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없다고 진단하고, 〈자료2〉의 입장에서 학교 교육은 사회를 통합시키지 못하며, 개인의 능력에 따른 사회적 상승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를 토대로 〈자료2〉를 옹호하는 입장에서 논지를 전개하고 있다. 논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의해 제시문을 이해 분석하고 있다.

 

▲ 창의적 사고력(비판력, 참신성)

 

민용이는 〈자료2〉의 입장에서 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배경이 상류층으로 성공할 수 있는 충분조건으로 보고, 국제중, 자사고, 특목고 등의 특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학교 교육을 상류층을 위한 교육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학교 교육을 개인의 능력에 따른 사회 이동을 돕다는 유토피아적인 가면을 쓰고 있다거나, 불신이라는 문제의 방아쇠를 당기는 역할을 한다고 제시한 것은 창의적시각이 드러난 부분이다.

 

 

▲ 문제 해결력

 

학교 교육의 악순환적 고리를 끊어내어 학교 교육의 불신을 벗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비교분석하라'를 비교적 정확히 진단하고 있고, 자신의 의견을 분명히 제시하고 옹호하면서 반론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논지를 이끌고 있다. 즉 상류층의 승자독식으로 진행되는 방식을 제고하고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 계층 상승의 사다리가 되기를 바라고 있다.

 

▲ 문장력 및 표현력

 

자연스럽게 자신의 주장을 드러낼 수 있다. 그렇지만 〈자료3〉의 상황이 단순한 상황이 아니고 심각한 사회적 갈등과 대립을 낳은 수 있기 때문에 좀더 강력한 사례를 들면서 표현하였더라면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사회적 이슈가 되는 문제가 저 멀리 남의 이야기가 아니고 앞으로 학생들이 겪는 문제라는 인식을 하는 학생으로 발전했으면 한다.

 

/ 이봉휘(전북과학고 교사)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도농 상생 한마당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싹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

사건·사고익산 초등학교서 식중독 의심 환자 18명 발생⋯역학 조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