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집창촌인 선미촌의 기능전환을 위한 문화재생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시는 내년부터 오는 2022년까지 모두 87억원을 들여 선미촌 내 성매매업소 주변지역(2만2760㎡)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이에 앞서 전주시는 최근 ‘선미촌 기능전환을 위한 용역’을 마쳤다.
전주시는 대상 지역에 대한 개발을 억제하고, 주변 환경정비 등 재생사업을 통해 성매매업소의 업종전환을 점진적으로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업종전환에 따라 업소에서 나온 성매매 여성들의 자활을 위해 인근 건물을 매입, 이들에 대한 상담활동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공·폐가 등을 매입해 녹지공간으로 조성하고, 여성단체 및 공공기관을 선미촌 내로 이전하는 등 선미촌 기능전환을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성매매업소에 대한 강제 철거를 지양하는 대신 점진적으로 업소의 자진폐쇄를 유도, 해당 업소의 반발 및 업소 폐쇄로 인한 ‘풍선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성매매업소를 강제 철거하면 다른 곳에 같은 업소가 생길 수도 있다”며 “풍선의 바람을 빼듯이 점진적으로 해당 업소의 기능전환을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10일 전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선미촌 문화재생 사업지구를 방문해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인근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김윤철 도시건설위원장은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주변환경과 특색에 맞는 도시재생을 통해 옛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는 문화재생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주시 완산구 서노송동 전주시청 뒤에 자리잡은 선미촌은 지난 1960년대에 형성됐으며 2002년의 경우 85개 업소에 250여명의 성매매여성이 종사했으나 2004년 성매매방지특별법 시행 이후 그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 현재는 49곳에 80여명 정도로 감소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