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2:40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자치·의회
일반기사

[저성장시대 전북경제-(중)성장동력 저하] 저출산·고령화로 인적자원 급감

최근 5년 간 도내 주민등록 인구 4320명 줄어 / 청장년층 이탈 심각·출생아 수도 해마다 감소

세계적으로 저성장이 본격화하는 상황에서 저출산·고령화로 한국경제의 주요 동력 중 하나인 ‘인적자원’마저 고갈될 위기에 처했다.

 

특히 전북은 다른 지역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현격히 적어 저성장시대를 돌파할 성장동력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인구 증가로 누려온 성장시대는 저물고 인구 감소로 성장이 위축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실제 도내 인구는 최근 5년 간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의 ‘e-지방지표’등 공시자료를 보면 지난해 기준 도내 주민등록 인구는 186만9711명으로 2011년(187만4031명)에 비해 4320명(0.2%) 감소했다.

 

이 기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가 줄어든 곳은 전북을 비롯해 서울·부산·대구·충남·전남 등 6곳에 불과하다.

 

도내 청장년층의 이탈과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된 것이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최근 5년 간 도내 전체 인구 대비 청장년층 비율은 1.9%p 하락했다. 청장년층 인구로만 보면 지난해 도내 20~30대는 45만1215명으로, 2011년 48만7684명보다 3만6469명(7.5%) 감소했다. 이 기간 연 평균 7300여명의 청장년층이 줄어든 셈이다.

 

이 중 구직활동에 나서는 20대의 다른 지역 이탈이 심각한 수준에 달한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1/4분기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20대 청년들이 가장 많이 유출된 곳은 전남(3556명)이며, 그 뒤를 이어 전북이 2906명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0대 유출인원 2196명과 비교할때 710명(32.3%)이 늘어난 수치다.

 

미래 성장동력이 될 출생아 수도 갈수록 줄고 있다.

 

전북은 인구 대비 출생아 수가 전국에서 두 번째로 적었고, 인구 대비 사망자 수는 전국에서 세번째로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출생아 수는 1만4100명으로, 전년 대비 약 100명(0.7%) 줄었다.

 

2010년 이후 증가한 도내 출생아 수는 2012년(1만6238명) 정점을 찍은 뒤, 2013년 1만4555명, 2014년 1만4231명 등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도내 가임 여성(15~49세)과 주 출산연령층(25~34세) 여성의 다른 시·도 전출이 증가하면서 초저출산 위기까지 거론되고 있다. 이미 전주시, 익산시, 순창군은 초저출산 지역이 됐다.

 

전북의 합계출산율은 매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전북의 합계출산율은 1.35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지만, 지역 여건이 비슷한 전남 1.55명, 경북 1.47명, 충남 1.46명 등 다른 지역보다 낮다.

 

이는 일자리와 교육 문제에 따른 가임 여성과 주 출산연령층 여성의 감소가 출생아 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저출산·고령화 경향은 지역의 잠재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주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유남희 전북대 산학연구처 부처장은 “저출산·고령화가 지속되면 지역 성장동력이 악화될 것이다. 경제활동인구는 줄어드는 반면에 노년층은 늘어나고 있다”며 “이는 미래 세대가 짊어져야 할 노인 부양비 등 사회적 비용 증가로 이어져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명국 psy2351@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