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지방선거 D-1년 ② 2014년 무소속 돌풍 재연될까] 뿌리내린 양당 구도에 좁아진 무소속 입지

작년 총선서 민주당 독주 깨지며 경쟁체제로 / 무소속 출마 고민 입지자들 정당 노크 가능성

2014년 6월 치러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무소속 돌풍’이었다. 6차례 지방선거 중 가장 많은 무소속 당선자가 나왔다.

 

이런 이유로 내년 6·13 지방선거를 1년 여 앞둔 상황에서 ‘무소속 돌풍’이 재연될 수 있을지에 지역 정가의 관심이 쏠린다.

 

6회 지선에서는 도지사를 포함한 전북 15개 광역·기초자치단체장 중 더불어민주당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이 8개 지역에서만 당선자를 배출했다. 나머지 7곳은 무소속이 석권했다.

 

제5회 지방선거 때 1곳을 제외한 14곳에서 승리하며 사실상 싹쓸이를 했던 것에 비하면 참패다. 일당 독주라는 과거 정치 형태에 염증을 느낀 도민들이 대안세력을 찾아 나섰기 때문이다.

 

이 같은 도민들의 대안 찾기는 20대 총선을 앞두고 창당한 야권의 신당으로 이어졌다. 당시 도민들은 선거를 5개월여 앞두고 탄생한 국민의당에게 10곳 중 7곳에서 지지를 몰아줬다. 민주당 일색이던 전북의 정치 지형에 양당 체제라는 새로운 경쟁 체제를 만든 것이다.

 

전북의 여당 자리를 꾀 찬 국민의당은 이 같은 여세를 몰아 지난 5·9 대선에서 대안정당으로서의 입지 굳히기에 나섰지만 결과는 20대 총선과 달랐다. 도민들은 당시 민주당 문재인 후보에게 전국 최고 지지율인 64.84%의 압도적 지지를 몰아줬다.

 

그렇다고 민주당과 국민의당의 양당 구도가 깨진 것은 아니다. 집권 여당은 민주당이지만 국회의원 숫자로만 보면 여전히 전북 여당은 국민의당이다.

 

대선에서도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3.76%의 지지를 받았다. 양당 구도가 유지되면서 사실상 무소속 후보가 설자리를 잃은 셈이다.

 

이 같은 정치 지형 변화는 입지자들의 행보에도 영향을 준다. 혼자 힘으로 선거를 치르기보다 정당의 조직력과 정책적 뒷받침을 받을 경우 선거를 치르기가 한결 수월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무소속 출마를 고민하던 입지자들이 정당의 문을 적극 두드릴 것으로 관측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무소속 단체장의 경우 현역 프리미엄을 내세워 경선없는 단수공천을 요구할 가능성이 큰데 수용되지 않을 경우 정당 입당보다는 무소속으로 출사표를 던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정당의 후보자 경선과정에서 갈등이 생길 경우 탈당과 무소속 출마를 결행할 후보자가 나올 것이란 관측도 있다.

 

이같은 분석과 관측 속에 내년 지방선거와 비슷한 형태를 띤 제4회 지방선거를 보면 무소속 돌풍을 완전히 배제할 수만은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야권 분열 속에서 양당 구도로 치러진 당시 지선에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무소속은 각각 5곳씩을 나눠가졌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6회 지선이후 무소속 3명 단체장(완주, 진안, 장수)이 민주당에 입당했다. 나머지 3명 중 1명(김제)은 연임 제한으로 출마가 어렵다”며 “부안과 임실이 무소속인데 특히 임실군은 과거 6차례 지선에서 정당 후보와 무소속 후보가 각각 3차례씩 승리를 거둔 지역으로 정당 후보와 무소속 후보 간 팽팽한 대결구도가 형성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지방선거 D-1년 ① 민심 향배] 선거마다 전북도민들 다른 선택…특정정당 우위 점칠 수 없다
박영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전주시 6시간 28분 49초로 종합우승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통산 3번째 종합우승 전주시…“내년도 좋은 성적으로 보답”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종합우승 전주시와 준우승 군산시 역대 최고의 박빙 승부

스포츠일반[제37회 전북역전마라톤대회] 최우수 지도자상 김미숙, “팀워크의 힘으로 일군 2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