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직으로 일하는 직장인 절반가량이 일하는 직장에서의 정규직 전환이 불가능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42%에 달하는 직장인이 ‘잘 모르겠다’고 답한 가운데 ‘정규직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확신하는 직장인은 11%에 불과했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함께 계약직 직장인 1,211명을 대상으로 ‘정규직 전환’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계약직 직장인들에게 ‘현 직장에서 정규직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망하는지’를 물은 결과 단 11%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6.6%가 ‘정규직 전환이 안 될 것’이라 답했으며,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42.4%로 높았다. 계약직 직장인 5명 중 4명은 정규직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계약직 직장인 76.4%가 ‘정규직 전환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있다’고 답했다. 계약직 직장인들이 정규직 전환을 위해 노력하는 것(복수응답, 이하 응답률) 1위는 ‘업무효율 관리, 업무성과 관리 등 일 잘하는 직원으로 평가 받기 위한 노력(65.7%)’이 차지한 가운데 ‘근태 관리, 평판 관리 등 성실한 이미지 갖추기’도 60.9%의 높은 응답률로 2위에 올랐다. 이어 ‘나를 평가하는 상사, 관리자와의 관계(37.2%)’, ‘직무 관련 지식이나 기술 습득(35.6%)’, ‘조직융화, 대인관계(35.1%)’, ‘직무 관련 자격증 취득(34.1%)’ 등에 신경 써서 노력한다는 답변이 이어졌다. 또 ‘정규직으로의 이직 준비’도 30.2%의 높은 응답률을 얻었다.
이는 특히 ‘정규직 전환 가능성이 없다’고 답한 그룹에서 51.7%의 높은 응답을 얻었으며, ‘정규직 전환이 될 것’이라고 답한 그룹에서는 8.2%로 훨씬 적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처럼 많은 계약직 직장인이 정규직 전환을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계약직이라서 느끼는 서러움도 한 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계약직 직장인 중 85.1%가 ‘계약직이라서 서러운 순간이 있다’고 답했다. 계약직이라서 서러운 순간(*복수응답, 이하 응답률) 1위는 ‘일은 똑같이 하고 대우는 정규직만 받을 때(42.2%)’였다. 2위는 ‘명절, 연말 인센티브 등 각종 상여금이 나올 때(36.3%)’가, 3위는 ‘어차피 그만 둘 사람으로 취급할 때(26.8%)’가 각각 차지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