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의료기관들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해 막대한 손실이 발생했는데도 손실을 제대로 보상해주지 않아 말썽을 빚고 있다. 남원의료원을 비롯한 일부 공공의료기관들은 직원 월급도 주지 못해 돈을 빌리는 상황으로까지 몰리고 있다.
19일 남원의료원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이후의 손실액이 50여억원으로 추산되지만 정부로부터 현재까지 지원받은 손실보상액은 27억원에 불과하다.
남원의료원의 3월 한달간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26억원에서 22억원으로 감소한 데 이어 4월에는 전년도 37억원의 20%에도 못 미치는 6억원으로 급감했다.
5월 수입액 역시 9억원으로 작년 30억원의 30%를 밑돌았다.
소개명령의 여파는 전담병원 지정이 해제된 이후에도 이어져 6월 수입액은 작년 25억원의 70%가량인 17억원에 그쳤다.
남원의료원은 앞으로 2∼3개월가량도 수입액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남원의료원은 당시 정부가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하면서 병상을 비우라는 ‘소개 명령’을 내림에 따라 167명의 입원 환자를 모두 다른 병원으로 전원 조치했다.
진료 및 치료 체계로 코로나19로 전환해 호흡기진료소와 응급의료센터 등 필수 진료분야만 남겼다.
입원환자 전원 조치에 이어 외래 진료마저 사실상 중단되면서 적자 폭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진 것이다.
하지만 정부는 4월에 13억원, 5월에 14억원을 손실 보상금으로 지원했으며 이후로는 아직 별다른 조치가 없다.
보건복지부는 다만, 손실 보상 기준이 만들어지면 추후에 부족분을 추가로 지원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적자가 누적되며 남원의료원은 결국 이달 직원 급여를 줄 수 없게 돼 수억원을 빌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남원의료원은 정상화를 위해 50억원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됐던 전국의 50여개 공공의료기관도 남원의료원과 사정이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원의료원 관계자는 “공공의료기관의 운영난이 매우 심각한 상태”라며 “이렇게 책임을 떠넘기면 앞으로 위기가 닥쳤을 때 정부에 제대로 협조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