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전주형 도시재생·첨단 디지털 신산업 구축 등 집중
전주시가 올해 전주를 더 전주답게 만들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도시공간 재생사업에 집중한다. 또 정부의 디지털·그린뉴딜과 연계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전주만의 다양한 특화사업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전주시 도시공간혁신추진단은 24일 ‘전주형 모델을 기반으로 한 도시 재생 및 지역 뉴딜 중심 도시로 도약’을 비전으로, △사람·생태·문화 중심의 전주형 도시재생 △활력이 넘치는 거버넌스 운영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빛나는 기억, 다시 뛰는 심장 ‘시민의숲 1963’ 프로젝트 추진 △전주형 뉴딜 추진으로 지속가능 행복도시 조성 등 4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시는 전주형 도시재생을 위해 서학동 예술마을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용머리 여의주마을 도시재생 뉴딜사업(우리동네살리기)을 연말까지 마무리하고, 전주역 앞 첫마중길 일대의 전주 역세권 도시재생 뉴딜사업(중심시가지형)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데 집중한다.
특히 지난해 전국에서 유일하게 선정된 덕진권역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전주종합경기장과 전북대학교 일원을 메타버스 기반 첨단 디지털 문화 콘텐츠 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전주 종합경기장 부지 재생사업을 위해 올해부터 도시관리계획 변경 및 기본설계를 시작으로 도시숲 조성, 경기장 재생, 문화시설 건립, 전시컨벤션 및 호텔 건립사업 등 각 세부 사업별 행정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지난해 지방재정투자사업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현재 행안부 지방재정 투자심사를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시는 정부 정책에 맞춰 디지털 뉴딜 및 그린 뉴딜의 과제를 확대 개편하고 성과 극대화를 위한 추진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전주형 뉴딜과 도시재생은 주민주도로 새로운 분야에서의 도시 공간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도시공간 기반 뉴딜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전주시 발전을 이끌 새로운 미래 동력을 발굴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