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5:44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김정경 시인- 세라 망구소 '망각 일기'

image
망각 일기 표지/사진=교보문고 제공

1월 2일부터 수영장에 등록했다. 일주일에 다섯 번. 새벽 다섯 시 반이면 수영장으로 간다. 난생처음 수영장이라는 곳에 발을 디딘 날부터 수영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이름을 붙여놓으니 뭔가 그럴듯해 보일 수도 있겠으나 실상은 내가 얼마나 겁먹었고, 물은 또 얼마나 많이 먹었으며, 모든 게 구제할 길 없이 엉망진창이었는지를 고백한 다음 무턱대고 지난날을 참회하는 기록일 뿐이다. 5개월 차에 접어들자 그마저도 듬성듬성 이 빠진 데가 늘고 있다. 그래서 얼마 전 연달아 읽은 일기에 관한 책들이 떠올랐다. 문보영 시인의 『일기시대』와 세라 망구소의 『망각 일기』 두 책 모두 일독을 권하고 싶었지만, 그중에도 『망각 일기』를 요 며칠 책상에 올려두었다.

최근에서야 국내에 소개되기 시작한 세라 망구소는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회고록 작가이다. 줌파 라히리는 그를 “오늘날 영미 문단에서 가장 독창적이고 흥미로운 작가”라고 상찬하기도 했다. 다양한 글쓰기를 하는 세라 망구소는 오랫동안 일기를 썼다. 이 책의 첫 문장도 “나는 25년 전부터 일기를 썼다”이다. 기억과 순간을 붙들기 위해서 “단어로 따지면 8만여 개에 달하는 분량”의 일기를 써왔다는 것이다. 어쩐지 처절하고 사무치는 결기 같은 것이 문장과 문장에서 묻어난다. 『망각 일기』의 첫 페이지는 이렇게 열린다.

아무것도 잃고 싶지 않았다. 그게 내가 가진 가장 큰 문제였다. 내게 일어난 모든 일을 기록하지 않고 하루를 마감하는 것을 견딜 수 없었다. - 『망각 일기』, 7쪽

작가는 강박적이고, 집요하게 기록하는 삶, 쓰는 자의 삶을 산다. 기록하지 않으면 망각에 이르고, 종국에 그 삶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공포에 오랫동안 시달렸다. 그에게 “일기 쓰기는 무엇을 생략할지, 무엇을 잊을지를 솎아내는 선택의 연속”이었으며, 25년간 일기 쓰기는 “하루 치의 청결을 책임지는 필수 일과”가 되었고, “일기 쓰기를 그만두느니 차라리 씻지 않는 편을 택”할 정도다.

눈치챘겠지만 이 책에는 세라 망구소가 그간 쓴 방대한 분량의 일기가 단 한 줄도 인용되지 않았다. 이것은 일기에 관한 글이다. 시간과 그 시간 속 존재들을 기록함으로써 사라지지 않도록 박제해두려했던 마음의 무늬들. 마치 주문과도 같은, 기도와도 닮은 간절함. 그 근원적인 불안과 강박으로부터 어떻게 놓여나고 필멸을 받아들이게 되었는가에 관한 성찰의 흔적이다.

옛 문고판이 떠오를 만큼 책의 판형도 작고 페이지마다 여백이 많은 책이지만, 쉽게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글은 아니다. 군더더기 없이 예리하게 벼려진 문장들은 그 앞에 한참을 머무르게 한다. 나의 옛일을 불러들이고, 잊고자 한 일과 기억하고자 했던 순간들을 펼쳐 보인다. 기억하기 위해, 망각하기 위해 사람들이 하는 일을 생각했다.

재밌는 건 일기 쓰기를 통해 생의 단 한순간도 빈틈없이 붙잡고 싶어했던 그의 고군분투를 완전히 전복한 사건을 맞이하게 된다는 것인데, 바로 임신과 출산, 그리고 육아로 이어지는 경험이다. 아이를 낳아 기르며 작가는 그리 오래되지 않은 기억은 잃어버리고, 반대로 생애 초기의 기억은 생생하게 떠올리기도 했다. 그가 구축해온 세계가 뒤죽박죽됐어도 작가는 여전히 일기를 쓴다. “미래는 계속 생겨나”고 우리가 사랑해마지않는 필멸의 존재들이 안간힘을 다해 빛나는 이 세계를 조금 더 오래 기억하기 위해서.

한 번도 본 적 없는 꽃. 나는 그 꽃을 미스터리로 남겨둬도 괜찮았다. 아니, 미스터리로 남겨두는 편이 더 나았다. 그래서 다른 아이가 관목의 빈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옆으로 비켜섰다. - 『망각 일기』 39쪽

김정경 시인은

2013년 전북일보 신춘문예에 시 「검은 줄」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지은 책으로 시집 『골목의 날씨』가 있다. 자칭 ‘산책중독자’. 오래된 골목을 유람하며 채집한 이야기로 시도 쓰고, 산문도 쓰며 살고 있다. 현재 전주문화재단 문예진흥팀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록 #망각 #일기 #세라 망구소 #서평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