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평가 전문성 향상, 학생 간 학력 격차 최소화 기대… 10월 공개
전북교육청이 초등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과 학생 간 학력 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초등학생 맞춤형 평가 플랫폼’을 개발에 착수했다.
학생평가 플랫폼은 2023학년도 초등학교 학생평가 기본 계획 및 2023학년도 전라북도 초등학교 학업성적관리시행지침에 따라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 있는 운영으로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학생평가 플랫폼 콘텐츠 개발에는 초등교사로 이루어진 학생평가 지원단이 참여한다.
학생평가 지원단은 도지원단(10개팀·53명)과 지역지원단(14개팀·100명)으로 구성·운영된다. 도지원단은 5개(국어·수학·사회·과학·영어) 과목의 성취기준에 따라 평가도구 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역지원단은 도내 14개 지역의 학생평가 컨설팅을 지원한다.
현재 도지원단은 교과의 성취기준에 따라 평가도구 콘텐츠를 개발 중이며, 전문가의 검토와 검수를 거쳐 오는 10월경 학생 맞춤형 평가 플랫폼을 공개 운영할 예정이다.
평가 플랫폼을 활용한 웹기반으로 교사는 수업과정에서 평가를 실시하고, 학생은 성취기준에 따라 교사의 피드백을 받게 된다.
도교육청은 내년 초등 1~2학년부터 적용되는 2022 개정교육과정 시행에 따라 평가도구 콘텐츠는 연차적으로 학년을 확대·적용할 계획이다.
임대섭 도교육청 유초등특수교육과장은 “초등학생 맞춤형 평가 플랫폼은 전북 초등교사들의 평가 전문성 신장과 함께 도내 초등학생들의 학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이미 지난 4월부터 학생평가 지원단 연수 등을 운영해 학생평가에 대한 철학과 평가도구 개발·실습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